[102호] 월경통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7-10-17 14:47
조회
3166
월경통이란?
월경통은 여성들이 흔히 겪는 현상이며, 이는 특별한 질환이 없는 여성이라도 주기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월경 기간의 첫 8시간에서 72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아랫배의 경련통이 특징적이며, 허리 통증, 두통, 설사, 메스꺼움 및 구토 등 다양한 다른 증상을 함께 겪기도 한다. 가볍게 넘어가는 때도 있겠지만, 어떤 경우는 일상생활이나 업무가 어려울 정도로 심한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월경통이 발생하는 원인
월경통은 특별한 질환 없이도 월경 주기에 따른 자궁 근육이나 혈관의 경련, 또는 정서적 스트레스 등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그 외에도, 자궁 및 난소 등 여성 장기에 발생한 염증, 종양, 혹 및 자궁 내 피임 장치, 자궁 수술 후 조직의 엉겨붙음(유착), 형태 변화 (기형, 경부 협착) 등도 월경통 발생과 연관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통의 진찰과 치료
쉬고 안정하면 나아지는 경우도 있고, 진통제 등의 약물치료나 다른 비약물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힘든 통증이 반복된다면, 다른 원인은 없는지 산부인과 (여성의학과) 및 관련된 전문 과의 진찰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미루지 말고 병원을 방문한다. 야간 교대근무를 하거나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작업환경, 정서적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여성노동자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월경통을 더 많이 경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의 진찰도 필요할 수 있다. 불안정한 고용 조건 또한 월경통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중국 천진 지역 전자 제품 공장 3곳의 여성 노동자 651명에 대한 설문 연구에서는, 자신의 고용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응답한 여성 노동자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지난 1년 간 ‘월경통을 항상 또는 자주 겪었습니다’ 라고 더 많이 응답했다.

월경통의 한방 치료는?
다른 질환이 없지만 반복되는 월경통이 있다면, 침 치료도 가능하다. 다만, 현재로서는 침 치료나 경혈 지압 치료가 월경통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3개월 이내 12-16회 정도 치료했는데도 별 효과가 없다면 무리해서 치료를 이어가는 것은 권하지 않으며 다른 치료방법으로 바꾸는 게 좋다. 한약 역시 현재 연구 결과로는 월경통에 효과적이라는 확실한 근거가 부족하므로, 진찰 한의사와 상의하되 우선 다른 치료들을 먼저 해 본 후에도 반응이 없을 경우 시도해본다. 3개월 정도 치료하여 효과가 없는데도 한약치료를 이어가는 것은 권하지 않는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685
2025.06.02 0 685
420
[노동재해직업병소식] [132호]2025년, 산불과 산재로 시작한 한 해 이지만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45
2025.06.02 0 45
419
[현장 보고] [132호]절대 안전 수칙 도입, 협의 없는 일방적 시행 심각하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4
2025.06.02 0 84
418
[건강하게 삽시다] [132호] 기립성저혈압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90
2025.06.02 0 190
417
[노동몸삶] [132호]빠른배송뒤에 가려진 물류노동자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44
2025.06.02 0 44
416
[산재 판례] [132호]만 18세 현장실습생 업무상 스트레스에 따른 투신자살 업무상재해 인정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5
2025.06.02 0 95
415
[영화로세상일기] [132호]애순의 꿈, 금명의 삶, 더 넓은 해방의 비전
mklabor | 2025.06.02 | 추천 1 | 조회 68
2025.06.02 1 68
414
[만나고 싶었습니다] [132호]편견과 차별없는 세상에서 동행을 꿈꾸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0
2025.06.02 0 90
413
[인권이야기] [132호]중요한 건 미성년자가 아니라 위계와 대상화라고!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43
2025.06.02 0 43
412
[상담실] [132호]업무상 사고와 질병의 구분 방법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4
2025.06.02 0 94
411
[일터에서 온 편지] [132호]다시 한번 광장으로!!!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6
2025.06.02 0 86
410
[초점] [132호]정의롭지 못한 반도체산업, 재벌만을 위한 ‘반도체특별법’ 반대한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4
2025.06.02 0 84
409
[현장을 찾아서] [132호]서면시장번영회지회 물러서지 않을 용기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4
2025.06.02 0 94
408
[132호]카라 노동조합 투쟁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49
2025.06.02 0 49
407
[활동 글] [132호]노가다가 아닌 노동자로 삽니다- 건설노동자들이 말하는 노동, 삶, 투쟁기록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0
2025.06.02 0 90
406
[활동 글] [132호]석탄화력발전소 폐쇄로 인한 현장의 고용불안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3
2025.06.02 0 83
405
[노동재해직업병소식] [131호]탄핵과 함께 나오는 우리의 목소리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82
2025.02.06 0 482
404
[현장 보고] [131호]윤석열 탄핵으로 만들어갈 세상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35
2025.02.06 0 435
403
[건강하게 삽시다] [131호]뇌출혈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521
2025.02.06 0 521
402
[산재 판례] [131호]경비원 실명, 과로 원인 배제할 수 없음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67
2025.02.06 0 467
401
[영화로세상일기] [131호]금지로부터 앞으로 <나이애드의 다섯 번째 파도> (감독 엘리자베스 차이 베사헬리 외, 미국)
mklabor | 2025.02.06 | 추천 1 | 조회 277
2025.02.06 1 2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