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호]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8-06-20 13:38
조회
4496
게시글 썸네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심각한 외상을 보거나 직접 겪은 후에 나타나는 불안 장애를 뜻합니다. [1] 전쟁, 사고, 자연 재해, 폭력 등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손상이나 생명을 위협당하는 환경에 던져질 경우, 그 때의 경험에 대해 공포심과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을 수 없다는 무력감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반복적으로 사건이 회상되어 환자는 다시 기억나는 것을 회피하려고 애를 쓰게 됩니다.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1,2차 세계 대전과 나치의 유태인 대학살, 베트남 전쟁의 생존자들이 겪었던 불안, 우울, 신체 증상들에 대한 관찰과 연구에서 이름 붙이게 된 질환입니다. [2] 그러나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세월호 유가족, 사람들과 동료들의 죽음을 늘상 겪는 소방관 등 보통 사람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충격적 외상을 당한 사람들 역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게 됩니다. [2] 현장에서 중대한 신체적 노동 재해를 당하거나 이를 목격한 노동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을 수 있습니다. [3] 업무와 관련하여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사건 경험으로 발생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예를 들어 작업 중 발생한 폭력/폭언에 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역시 산재보험법 (산재보험법 시행령 제 34조 3항 [별표 3]) 상 산재로 인정받을 수 있음을 보면, 노동자의 정신적 외상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4]
만약 신체적/정신적 충격을 경험하고 불안, 무력감, 충격적인 기억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등의 증상이 있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및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상담해야 합니다. 약물 치료 및 적절한 상담과 스스로 관리 요법을 병행한다면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혼자 괴로워하다 위태한 상황을 홀로 맞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단순한 개인의 부적응이나 예민함 때문이 아니며, 노동 조건의 구조적 왜곡과 사회적 환경을 핵심적 ‘외상’ 요인으로 빼놓지 말고 고려해야 합니다 [1]. 따라서 의학적 치료 외에도 일터 작업환경이 노동자를 해치지 않도록 변화시키는 것 또한 노동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을 예방하는 중요한 활동일 것입니다.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
(https://goo.gl/g4JuE4) (2018년 5월 10일 접속)
2. 김승섭. PTSD, ‘설명없는 치료’의 딜레마에 빠지진 않았나요? 한겨레 사이언스 온.
2015.09.03 (https://goo.gl/hu4sfu) (2018년 5월 10일 접속)
3. 류현철. 중대재해를 경험한 노동자들의 트라우마. 매일노동뉴스 2017.05.11.
4. 김인아 외. 감정노동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인정범위 및 기준에 대한 연구.
고용노동부 정책연구용역사업 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492000-000349-01). 2015년 8월.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14
2025.06.02 0 814
19
[초점] [112호]직장내괴롭힘 금지법 시행 6개월, 실효성 문제
mklabor | 2020.02.28 | 추천 0 | 조회 3630
2020.02.28 0 3630
18
[초점] [111호]위험의 외주화, 원청이 처벌받아야 삼성중공업 크레인사고 항소심에 의견서 제출과 피해노동자 증인신청
mklabor | 2019.12.06 | 추천 0 | 조회 3619
2019.12.06 0 3619
17
[초점] [110호]당신의 노동을 존중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mklabor | 2019.09.20 | 추천 0 | 조회 3719
2019.09.20 0 3719
16
[초점] [109호]2017년 5월 1일 발생한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크레인 충돌 사고를 통해 본 쟁점과 노동의 대응방안
mklabor | 2019.07.05 | 추천 0 | 조회 3565
2019.07.05 0 3565
15
[초점] [108호]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중 도급금지 및 도급인의 책임 강화의 내용과 실효성 검토
mklabor | 2019.04.11 | 추천 0 | 조회 4303
2019.04.11 0 4303
14
[초점] [107호]탄력근로시간제도 시간외수당없는 장시간노동의 합법화
mklabor | 2018.12.27 | 추천 0 | 조회 3623
2018.12.27 0 3623
13
[초점] [106호]노동시간 단축을 바라보며
mklabor | 2018.10.18 | 추천 0 | 조회 2948
2018.10.18 0 2948
12
[초점] [105호]노동자의 권리 주체성 확보와 산업안전보건법 체계의 전환 필요성
mklabor | 2018.06.20 | 추천 0 | 조회 3519
2018.06.20 0 3519
11
[초점] [104호]소득주도성장,전혀 새로울 게 없는 빛 좋은 개살구
mklabor | 2018.03.27 | 추천 0 | 조회 3063
2018.03.27 0 3063
10
[초점] [103호]문재인 정부의 노동정책 진단과 우리의 과제
mklabor | 2018.01.02 | 추천 0 | 조회 3000
2018.01.02 0 3000
9
[초점] [102호] 또 다시 스스로 목숨 끊은 집배원 문재인 정부는 지금 당장 인력을 대폭 확충하라
mklabor | 2017.10.17 | 추천 0 | 조회 3039
2017.10.17 0 3039
8
[초점] [102호] 집배원의 못다 전한 편지
mklabor | 2017.10.17 | 추천 0 | 조회 2988
2017.10.17 0 2988
7
[초점] [101호]문재인정부의 노동정책 뜯어보기
mklabor | 2017.06.27 | 추천 0 | 조회 3152
2017.06.27 0 3152
6
[초점] [100호] 노동자 건강권 운동의 현실과 방향
mklabor | 2017.03.24 | 추천 1 | 조회 2942
2017.03.24 1 2942
5
[초점] [100호] 우리에게 노안활동은 꽃놀이패인가?
mklabor | 2017.03.24 | 추천 1 | 조회 2657
2017.03.24 1 2657
4
[초점] [100호] 비정규노동자의 건강권 현실
mklabor | 2017.03.24 | 추천 1 | 조회 2827
2017.03.24 1 2827
3
[초점] [100호] 노동 전문 변호사가 본 노동자 건강권 문제
mklabor | 2017.03.24 | 추천 2 | 조회 3285
2017.03.24 2 3285
2
[초점] [100호]노동자 건강권운동과 직업환경의학
mklabor | 2017.03.24 | 추천 0 | 조회 3069
2017.03.24 0 3069
1
[초점] [99호]누가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모는가?
mklabor | 2017.02.17 | 추천 0 | 조회 2701
2017.02.17 0 27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