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호] 월경통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7-10-17 14:47
조회
3197
월경통이란?
월경통은 여성들이 흔히 겪는 현상이며, 이는 특별한 질환이 없는 여성이라도 주기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월경 기간의 첫 8시간에서 72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아랫배의 경련통이 특징적이며, 허리 통증, 두통, 설사, 메스꺼움 및 구토 등 다양한 다른 증상을 함께 겪기도 한다. 가볍게 넘어가는 때도 있겠지만, 어떤 경우는 일상생활이나 업무가 어려울 정도로 심한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월경통이 발생하는 원인
월경통은 특별한 질환 없이도 월경 주기에 따른 자궁 근육이나 혈관의 경련, 또는 정서적 스트레스 등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그 외에도, 자궁 및 난소 등 여성 장기에 발생한 염증, 종양, 혹 및 자궁 내 피임 장치, 자궁 수술 후 조직의 엉겨붙음(유착), 형태 변화 (기형, 경부 협착) 등도 월경통 발생과 연관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통의 진찰과 치료
쉬고 안정하면 나아지는 경우도 있고, 진통제 등의 약물치료나 다른 비약물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힘든 통증이 반복된다면, 다른 원인은 없는지 산부인과 (여성의학과) 및 관련된 전문 과의 진찰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미루지 말고 병원을 방문한다. 야간 교대근무를 하거나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작업환경, 정서적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여성노동자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월경통을 더 많이 경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의 진찰도 필요할 수 있다. 불안정한 고용 조건 또한 월경통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중국 천진 지역 전자 제품 공장 3곳의 여성 노동자 651명에 대한 설문 연구에서는, 자신의 고용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응답한 여성 노동자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지난 1년 간 ‘월경통을 항상 또는 자주 겪었습니다’ 라고 더 많이 응답했다.

월경통의 한방 치료는?
다른 질환이 없지만 반복되는 월경통이 있다면, 침 치료도 가능하다. 다만, 현재로서는 침 치료나 경혈 지압 치료가 월경통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3개월 이내 12-16회 정도 치료했는데도 별 효과가 없다면 무리해서 치료를 이어가는 것은 권하지 않으며 다른 치료방법으로 바꾸는 게 좋다. 한약 역시 현재 연구 결과로는 월경통에 효과적이라는 확실한 근거가 부족하므로, 진찰 한의사와 상의하되 우선 다른 치료들을 먼저 해 본 후에도 반응이 없을 경우 시도해본다. 3개월 정도 치료하여 효과가 없는데도 한약치료를 이어가는 것은 권하지 않는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89
2025.06.02 0 989
14
[산재 판례] [112호]업무상 재해로 인정된 상병에 관해 치료를 받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한 경우 요양 중의 사고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mklabor | 2020.02.28 | 추천 0 | 조회 3429
2020.02.28 0 3429
13
[산재 판례] [111호]장해급여 부당이득 징수처분이 취소된 사례
mklabor | 2019.12.06 | 추천 0 | 조회 3597
2019.12.06 0 3597
12
[산재 판례] [110호]회식 후 음주운전 한 동료의 차를 타고 가다가 교통사고로 입은 상해는 업무상재해에 해당한다
mklabor | 2019.09.20 | 추천 0 | 조회 3605
2019.09.20 0 3605
11
[산재 판례] [109호]전세버스 운전기사의 대기시간은 온전한 휴식시간으로 볼 수 없다.
mklabor | 2019.07.05 | 추천 0 | 조회 3704
2019.07.05 0 3704
10
[산재 판례] [108호]24년 전에 근무한 사업장에서의 소음 노출도 난청과 인과관계가 있다.
mklabor | 2019.04.11 | 추천 0 | 조회 3635
2019.04.11 0 3635
9
[산재 판례] [107호]첨단산업증 현실적으로 입증이 곤란한 경우 인과관계의 입증책임은 보다 완화되어야 한다
mklabor | 2018.12.27 | 추천 0 | 조회 3294
2018.12.27 0 3294
8
[산재 판례] [106호]지입차주 형식이어도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했다면 근로자에 해당한다
mklabor | 2018.10.18 | 추천 0 | 조회 3568
2018.10.18 0 3568
7
[산재 판례] [105호]부당해고 및 장기간의 파업 등으로 유발된 적응장애는 업무상 재해이다
mklabor | 2018.06.20 | 추천 0 | 조회 3335
2018.06.20 0 3335
6
[산재 판례] [104호]길냥이를 구한 목숨 (서울행정법원 2008. 9. 10. 선고 2008구합6875)
mklabor | 2018.03.27 | 추천 0 | 조회 2955
2018.03.27 0 2955
5
[산재 판례] [103호]현재의 의학수준에서 곤란하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인과관계를 쉽사리 부정할 수 없다
mklabor | 2018.01.02 | 추천 0 | 조회 2852
2018.01.02 0 2852
4
[산재 판례] [102호]내성적인 성격 등 개인적 취약성도 업무상 재해여부 판단 시 고려사항이다
mklabor | 2017.10.17 | 추천 0 | 조회 4009
2017.10.17 0 4009
3
[산재 판례] [101호]유해물질 노출량 기준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할 수 있다
mklabor | 2017.06.27 | 추천 0 | 조회 4210
2017.06.27 0 4210
2
[산재 판례] [100호]산재판례 필진의 한마디
mklabor | 2017.03.24 | 추천 1 | 조회 2899
2017.03.24 1 2899
1
[산재 판례] [99호]사업주 제공 교통수단에 의한 출퇴근 사고만 산재 인정하는 법률은 위헌이다(2014헌바254)
mklabor | 2017.02.17 | 추천 0 | 조회 3740
2017.02.17 0 374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