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호]추나 요법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9-09-20 11:17
조회
4039
게시글 썸네일
추나요법은 한의사의 손과 몸으로 환자의 몸을 누르거나 당겨 기혈을 소통시키는 치료 방법이다. 한의학에는 도인안교 (導引按蹻) 라는 신체 단련 및 신체 조절 치료법이 있는데, 이를 기원으로 하고 있다.
약물 치료가 아니므로 복용하는 약물의 종류가 많아 추가 약물 치료가 곤란하거나, 침 치료를 무서워하는 환자들에게도 적용할 수 있다.

추나 요법은 기혈소통을 원활하게 하여 뭉친 근육을 부드럽게 하고 통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대 의료기술 평가를 위한 높은 품질의 연구 결과는 많지 않기 때문에, 일관적인 효과가 있는지는 아직 확실하지 않다.
어떤 환자에겐 만족할 만한 효과를 낼 수도 있지만 어떤 환자들은 별 효과를 얻지 못할 수도 있다는 말이다. 앞으로 더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다.

추나 치료는 주로 목과 허리 통증 등의 만성 근육 골격계 질환에 활용된다. 어린이 성장을 돕거나 내과적인 질환 치료를 목적으로 추나 치료를 적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좋은 근거는 부족하다.

추나 치료는 면허를 받은 한의사가 적절한 방법으로 시술할 경우, 부작용 발생 위험이 낮은 안전한 치료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추나 치료 후 척추 골절, 혈관 손상 등의 중대한 부작용이 발생했다는 사례 보고도 드물게 있기 때문에, 완벽히 안전하다고는 볼 수 없다. 따라서, 시술은 반드시 한의사의 충분한 진찰 후 안전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떨어지거나 넘어져 골절상을 입은 적이 있거나, 60세 이상으로 척추의 압박 골절을 진단받은 적이 있다면 추나 요법이 적절하지 않을 수도 있으므로, 반드시 한의사에게 알려주어야 안전하고 효과적인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다.

예전에는 건강보험 적용이 되지 않아 꽤 비용이 부담되는 치료였지만, 현재에는 건강보험 적용이 되는 급여치료가 되었다. 가까운 한의원이나 한방병원에서 한의사와 상담을 통해 받을 수 있다.

다만, 일관적인 효과가 있는지는 아직 불확실하므로 담당 한의사의 치료 계획에 대해 충분히 물어보고 상의하는 것이 좋다. 대체로 만성 근골격 질환은 2-3개월 동안 정기적으로 치료를 이어가며 몸 상태의 변화를 평가하므로, 담당 의료인과 충분히 소통하며 치료가 효과적인지 환자 스스로도 자신의 몸을 관찰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043
2025.06.02 0 1043
14
[산재 판례] [112호]업무상 재해로 인정된 상병에 관해 치료를 받던 중 교통사고로 사망한 경우 요양 중의 사고에 해당한다고 본 사례
mklabor | 2020.02.28 | 추천 0 | 조회 3432
2020.02.28 0 3432
13
[산재 판례] [111호]장해급여 부당이득 징수처분이 취소된 사례
mklabor | 2019.12.06 | 추천 0 | 조회 3598
2019.12.06 0 3598
12
[산재 판례] [110호]회식 후 음주운전 한 동료의 차를 타고 가다가 교통사고로 입은 상해는 업무상재해에 해당한다
mklabor | 2019.09.20 | 추천 0 | 조회 3608
2019.09.20 0 3608
11
[산재 판례] [109호]전세버스 운전기사의 대기시간은 온전한 휴식시간으로 볼 수 없다.
mklabor | 2019.07.05 | 추천 0 | 조회 3706
2019.07.05 0 3706
10
[산재 판례] [108호]24년 전에 근무한 사업장에서의 소음 노출도 난청과 인과관계가 있다.
mklabor | 2019.04.11 | 추천 0 | 조회 3637
2019.04.11 0 3637
9
[산재 판례] [107호]첨단산업증 현실적으로 입증이 곤란한 경우 인과관계의 입증책임은 보다 완화되어야 한다
mklabor | 2018.12.27 | 추천 0 | 조회 3297
2018.12.27 0 3297
8
[산재 판례] [106호]지입차주 형식이어도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했다면 근로자에 해당한다
mklabor | 2018.10.18 | 추천 0 | 조회 3570
2018.10.18 0 3570
7
[산재 판례] [105호]부당해고 및 장기간의 파업 등으로 유발된 적응장애는 업무상 재해이다
mklabor | 2018.06.20 | 추천 0 | 조회 3339
2018.06.20 0 3339
6
[산재 판례] [104호]길냥이를 구한 목숨 (서울행정법원 2008. 9. 10. 선고 2008구합6875)
mklabor | 2018.03.27 | 추천 0 | 조회 2956
2018.03.27 0 2956
5
[산재 판례] [103호]현재의 의학수준에서 곤란하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인과관계를 쉽사리 부정할 수 없다
mklabor | 2018.01.02 | 추천 0 | 조회 2854
2018.01.02 0 2854
4
[산재 판례] [102호]내성적인 성격 등 개인적 취약성도 업무상 재해여부 판단 시 고려사항이다
mklabor | 2017.10.17 | 추천 0 | 조회 4010
2017.10.17 0 4010
3
[산재 판례] [101호]유해물질 노출량 기준을 충족하지 않더라도 업무상 질병으로 인정할 수 있다
mklabor | 2017.06.27 | 추천 0 | 조회 4215
2017.06.27 0 4215
2
[산재 판례] [100호]산재판례 필진의 한마디
mklabor | 2017.03.24 | 추천 1 | 조회 2899
2017.03.24 1 2899
1
[산재 판례] [99호]사업주 제공 교통수단에 의한 출퇴근 사고만 산재 인정하는 법률은 위헌이다(2014헌바254)
mklabor | 2017.02.17 | 추천 0 | 조회 3744
2017.02.17 0 3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