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1호]손목 터널 증후군 (수근관증후군)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7-06-27 17:12
조회
5390
게시글 썸네일
손목 터널 증후군이란, 손목 터널이 좁아져 정중신경을 눌러, 신경이 지배하는 손, 손가락의 영역의 이상감각과 근력저하, 근육 위축이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손목 관절의 작은 뼈들과 손목을 가로지르는 단단한 인대 (횡 수근 인대) 사이의 공간이 손목 터널입니다. 이 속으로 손가락 운동과 연관된 힘줄, 신경이 지나갑니다. 이 때 어떤 원인에 의해 손목 터널 안 공간이 좁아져 손가락과 손바닥을 지배하는 정중신경이 눌리게 되면 여러 가지 감각, 운동과 관련된 증상이 나타납니다.

제일 흔하고 뚜렷한 증상은 손바닥과 손가락의 저림, 찌릿함, 통증 등 감각이상 및 근력 약화 등입니다. 신경이 눌린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 증상 역시 일상 관리와 함께 적절한 치료로 잘 완화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반에 잘 관리하지 못하거나 정중신경이 눌린 정도가 심하다면 엄지 손가락 두덩 근육이 위축되거나 손의 쥐는 힘이 떨어지는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의 원인은 아직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손과 손목의 과도한 반복 사용, 손목 골절 후 변형, 염증성 관절질환, 당뇨/갑상선기능저하증 등의 대사질환, 비만, 임신 등이 연관 요인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손목 터널 증후군은 병력 청취 및 신체 검진, 근전도/신경전도 검사 등의 전기생리학적 검사를 통해 진단됩니다. 신경 압박 정도가 심하지 않을 경우, 증상 역시 일상 관리와 병행한 적절한 치료로 좋은 성과를 얻을 수 있으나, 엄지 손가락 두덩 근육이 위축되거나 손의 쥐는 힘이 떨어지는 등 근력 저하/근육 위축 증상이 있을 때에는 후유증을 방지하기 위해 수술적 치료를 우선으로 고려하게 됩니다.

한의학에서는 손목 터널 증후군에 대해 침 치료를 위주로 합니다. 손목 주변 및 연관된 경혈에 침을 놓아 통증을 개선시키고 기능적 회복을 촉진하는 효과가 제기되었습니다. 최근의 뇌영상 연구에서는 침 치료를 받은 손목 터널 증후군 환자의 뇌 신호가 건강인과 비슷하게 변화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장시간 과도한 손목의 반복작업, 중량물 작업으로 인한 손목 손상을 피해야 하며, 가벼운 증상이 있을 때 바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제 때에 받는 것이 건강 유지에 필요합니다.

<그림 출처: 안전보건공단>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989
2025.06.02 0 989
19
[초점] [112호]직장내괴롭힘 금지법 시행 6개월, 실효성 문제
mklabor | 2020.02.28 | 추천 0 | 조회 3642
2020.02.28 0 3642
18
[초점] [111호]위험의 외주화, 원청이 처벌받아야 삼성중공업 크레인사고 항소심에 의견서 제출과 피해노동자 증인신청
mklabor | 2019.12.06 | 추천 0 | 조회 3631
2019.12.06 0 3631
17
[초점] [110호]당신의 노동을 존중합니다, 직장 내 괴롭힘 금지법
mklabor | 2019.09.20 | 추천 0 | 조회 3729
2019.09.20 0 3729
16
[초점] [109호]2017년 5월 1일 발생한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 크레인 충돌 사고를 통해 본 쟁점과 노동의 대응방안
mklabor | 2019.07.05 | 추천 0 | 조회 3574
2019.07.05 0 3574
15
[초점] [108호]개정 산업안전보건법 중 도급금지 및 도급인의 책임 강화의 내용과 실효성 검토
mklabor | 2019.04.11 | 추천 0 | 조회 4317
2019.04.11 0 4317
14
[초점] [107호]탄력근로시간제도 시간외수당없는 장시간노동의 합법화
mklabor | 2018.12.27 | 추천 0 | 조회 3639
2018.12.27 0 3639
13
[초점] [106호]노동시간 단축을 바라보며
mklabor | 2018.10.18 | 추천 0 | 조회 2961
2018.10.18 0 2961
12
[초점] [105호]노동자의 권리 주체성 확보와 산업안전보건법 체계의 전환 필요성
mklabor | 2018.06.20 | 추천 0 | 조회 3530
2018.06.20 0 3530
11
[초점] [104호]소득주도성장,전혀 새로울 게 없는 빛 좋은 개살구
mklabor | 2018.03.27 | 추천 0 | 조회 3073
2018.03.27 0 3073
10
[초점] [103호]문재인 정부의 노동정책 진단과 우리의 과제
mklabor | 2018.01.02 | 추천 0 | 조회 3007
2018.01.02 0 3007
9
[초점] [102호] 또 다시 스스로 목숨 끊은 집배원 문재인 정부는 지금 당장 인력을 대폭 확충하라
mklabor | 2017.10.17 | 추천 0 | 조회 3045
2017.10.17 0 3045
8
[초점] [102호] 집배원의 못다 전한 편지
mklabor | 2017.10.17 | 추천 0 | 조회 2995
2017.10.17 0 2995
7
[초점] [101호]문재인정부의 노동정책 뜯어보기
mklabor | 2017.06.27 | 추천 0 | 조회 3160
2017.06.27 0 3160
6
[초점] [100호] 노동자 건강권 운동의 현실과 방향
mklabor | 2017.03.24 | 추천 1 | 조회 2949
2017.03.24 1 2949
5
[초점] [100호] 우리에게 노안활동은 꽃놀이패인가?
mklabor | 2017.03.24 | 추천 1 | 조회 2664
2017.03.24 1 2664
4
[초점] [100호] 비정규노동자의 건강권 현실
mklabor | 2017.03.24 | 추천 1 | 조회 2834
2017.03.24 1 2834
3
[초점] [100호] 노동 전문 변호사가 본 노동자 건강권 문제
mklabor | 2017.03.24 | 추천 2 | 조회 3291
2017.03.24 2 3291
2
[초점] [100호]노동자 건강권운동과 직업환경의학
mklabor | 2017.03.24 | 추천 0 | 조회 3076
2017.03.24 0 3076
1
[초점] [99호]누가 노동자를 죽음으로 내모는가?
mklabor | 2017.02.17 | 추천 0 | 조회 2711
2017.02.17 0 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