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9호]허리 추간판 탈출증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9-07-05 11:33
조회
4810
게시글 썸네일

한의사 김건형회원


우리 몸의 척추 뼈 33개 중 허리 뼈 (요추) 는 총 5개다. 척추 사이 사이에는 충격을 완화, 흡수하도록 탄성이 있는 납작한 판 (추간판, ‘디스크’) 이 있다. 이게 뒤나 옆으로 튀어나와 허리 신경 (척수) 을 압박하거나 자극하면, 연관된 신경 지배 영역을 따라 허리나 다리가 저리고 아프다. 심한 경우 운동 신경도 영향을 받아 다리 근육 힘이 떨어지거나 허벅지, 종아리 근육이 마른다. 이를 허리 추간판 탈출증이라고 부른다.

허리 추간판 탈출증은 갑작스런 허리 충격 (외상)이나 과격한 움직임 이후 생길 수도 있지만, 허리를 굽히거나 숙이는 동작을 지나치게 오래 하거나 반복할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다. 좁은 장소에서 공구를 들고 자연스럽지 않은 자세로 오랜 시간 일하거나 무거운 물건을 들었다 놨다 반복하는 노동자, 오랫동안 사무실 의자에 앉아서 일을 하거나 오래 서 있는 판매직, 마트 노동자들은 허리 추간판 탈출증을 경험할 위험에 처해 있다. 다양한 노동 환경에서 흔하게 발생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이다.

가장 흔한 증상은 제 자리를 벗어난 추간판이 허리 신경을 자극할 때 나타나는 엉덩이, 다리 부위의 통증이나 저림이다. 허리도 함께 아플 수 있다. 심한 경우에는 계단을 오르내리거나 까치발로 걷기 힘들어지는 등 다리 근력이 떨어질 수도 있다.

보통 수 주에서 수 개월에 걸쳐 증상이 점차 심해질 수 있다. 이 경우,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찰과 (필요 시) 엠알아이 (자기공명영상검사) 촬영 등을 통해 허리 어느 부위에 얼마나 문제가 생겼는지 확인할 수 있다. 만약 증상이 천천히 발생하지 않고 수 일 내에 빠르게 심해진다면 (예를 들어 다리가 약간 저리다가, 심하게 저리면서 근력이 떨어진다면), 신경이 심하게 압박받는다는 징후이므로 가능한 빨리 의료진을 찾아야 한다.
만약 다리 근력이 갑자기 심하게 떨어지거나 대소변 기능에 갑작스런 장애가 생긴다면 장기간 후유증이 남을 수 있는 응급 상황이므로 즉시 가까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

치료의 목표는 통증과 불편함을 최대한 줄이고, 일상 생활 기능을 가능한 잘 보존하는 것이다.
탈출된 추간판의 신경 자극이 심하지 않다면, 대부분 운동 요법과 비수술적 치료로 나아진다. 진통 약물, 물리치료, 침 치료, 추나/도수 치료 등이 이에 해당한다.
어떤 치료가 다른 치료보다 낫다는 증거는 없으므로, 비용과 개인의 선호도에 따라 치료를 적극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
삶의 질과 일상 기능이 뚜렷하게 떨어질 정도로 통증이 심하다면, 신경 분절을 국소 마취시키는 주사 (신경 차단술) 요법을 받을 수도 있으나, 장기 효과는 분명하지 않다. 여러 비수술적 치료와 운동 요법으로도 심한 통증과 불편감이 지속되는 경우, 수술로 얻을 이득이 명백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탈출된 추간판의 수술적 제거가 아니라면 여러 후유증이 남으리라 예상되는 경우, 수술 요법을 고려한다.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의료진과 함께 꼼꼼히 장단점을 따져보고 결정한다. 필요하다면 다른 의료진에게 제 2, 제 3의 의견을 구할 수도 있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042
2025.06.02 0 1042
400
[만나고 싶었습니다] [131호]노래로 투쟁하며 만들어가는 세상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57
2025.02.06 0 457
399
[인권이야기] [131호]쿠테타 3번이나 일으킨 군대 꼭 있어야 하나?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296
2025.02.06 0 296
398
[상담실] [131호]산재 요양 중에도 상여금 받을 수 있을까?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720
2025.02.06 0 720
397
[일터에서 온 편지] [131호]악몽 같은 8월 2일!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66
2025.02.06 0 466
396
[초점] [131호]집단학살과 식민점령에 맞서, 팔레스타인 해방의 연대자가 되자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58
2025.02.06 0 458
395
[현장을 찾아서] [131호]한국옵티칼하이테크 투쟁은 과거와 현재를 가르고 있습니다.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83
2025.02.06 0 483
394
[활동 글] [131호]산재승인까지 8개월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80
2025.02.06 0 480
393
[활동 글] [131호]세상 모든 노동자들의 이유있는 밤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3
2025.02.06 0 473
392
[활동 글] [131호]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한화오션과 그 죽음을 방관하는 통영지청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8
2025.02.06 0 478
391
[여는 생각] [131호]2024년 생명안전 경남지역의 주요 이슈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3138
2025.02.06 0 3138
390
[노동재해직업병소식] [130호]예견된 참사는 이제 그만.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168
2024.10.15 0 1168
389
[현장 보고] [130호]아버지 죽음의 진실을 밝히려 합니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728
2024.10.15 0 728
388
[건강하게 삽시다] [130호]온열질환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177
2024.10.15 0 1177
387
[산재 판례] [130호]택시노동자 사측의 부당 행위에 장기간 투쟁퇴근길 무면허에 과속 운전했지만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사정, 사고발생 경위 등 고려해서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592
2024.10.15 0 1592
386
[영화로세상일기] [130호]교육받을 권리
mklabor | 2024.10.15 | 추천 2 | 조회 378
2024.10.15 2 378
385
[노동몸삶] [130호]돌봄노동자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345
2024.10.15 0 345
384
[노동몸삶] [130호]돌봄노동자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318
2024.10.15 0 318
383
[만나고 싶었습니다] [130호]9년이라는 긴 싸움, 지엠비정규직 노동자의 투쟁은 옳았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63
2024.10.15 0 663
382
[인권이야기] [130호]어린 사람은 아랫 사람이 아니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332
2024.10.15 0 332
381
[상담실] [130호]휴업급여 지급 요건의 비현실성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60
2024.10.15 0 6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