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호]산재신청 보복행위 – 국내 첫 형사처벌 사업주 징역 1년에 집행유예 2년, 공모자 벌금 400만원

[현장 보고]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22-01-22 13:43
조회
2978
게시글 썸네일
산재보상보험법 제 111조의 2에서 산재신청을 하는 노동자에게 불이익 처우를 금지하고 있지만 실제로 처벌되는 경우가 없었다. 이러한 현실이다 보니 노동자들은 다치고도 당하고도 불이익이 두려워 산재 신청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 대부분의 산재가 은폐되는 현실이다. 특히 노동조합이 없는 경우 더욱 그렇다. 특히, 감독 기관인 고용노동부는 이러한 사실을 알고 있으면서도 권한이 없다는 이유로 수사 조차도 하지 않는 등 미온적 태도를 보였다.
최근 2021년 12월 22일 창원지방법원 통영지원은 산재보상보험법 제111조의2(불이익 처우의 금지) 등으로 산재 신청을 한 노동자에게 보복조치를 가한 사업주에게 징역 1년 집행유예 2년을, 공모자 3명에게 400만원 및 각 200만원의 벌금형을 선고했다. 이는 산재신청 보복행위가 처벌로 이어진 국내 첫 사례로서, 산재은폐의 주요 원인이 보복조치에 있음을 비추어 볼 때, 해당 사건의 형사 처벌이 시사하는 바가 크다.
아울러 그동안 고용노동부 감독관에게는 수사권이 없어 일반 경찰이 조사할 수밖에 없었던 산재보상보험법 ‘불이익 처우 금지 위반’의 범죄에 대하여, 국회는 12월 9일 ‘사법경찰관 직무규정 개정안’을 통과시키며 2022년 1월 27일부터 고용노동부 감독관은 해당 범죄에 대한 수사권을 갖도록 하였다.

이는 모두 노동자의 투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근본적으로 산재보상보험법 전면 개정을 외치면서, 한 축으로는 당장 발생하고 있는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한 투쟁을 배치한 성과이다. 당시 민주노총 경남지역본부와 노동자 생명과 건강을 위한 중대재해근절 경남 대책위는 기자회견을 통해 산재 신청 보복행위에 대해 엄중한 처벌을 촉구하고 담당 검사와 담당 검사와 검찰청장의 직무유기(태만) 고소를 한 사실이 있다. 비록 직무 유기건은 각하되었지만 산재신청 보복행위에 대한 선고 결과는 분명 투쟁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751
2025.06.02 0 751
380
[일터에서 온 편지] [130호]열정과 패기로 지역의 동지들과 함께 새로운 노동조합을!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121
2024.10.15 0 1121
379
[초점] [130호]2024년 국정감사 산재보험 관련 대응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51
2024.10.15 0 651
378
[현장을 찾아서] [130호]작은 사업장의 민낯 드러낸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47
2024.10.15 0 647
377
[활동 글] [130호]노동력이 아니라 사람이 왔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42
2024.10.15 0 642
376
[활동 글] [130호]여름철 조선소 뜨거운 현장, 이곳이 바로 고온 현장이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800
2024.10.15 0 800
375
[여는 생각] [130호]폭염 대책 작업 시간을 제한해야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3754
2024.10.15 0 3754
374
[현장 보고] [129호]현장보고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957
2024.07.05 0 1957
373
[건강하게 삽시다] [129호] 손발저림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06
2024.07.05 0 1306
372
[산재 판례] [129호]택시노동자 사측의 부당 행위에 장기간 투쟁하다 분신 사망,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61
2024.07.05 0 1261
371
[영화로세상일기] [129호] 피해자 각본을 깨고 더 나은 것과 연결되는 삶:정순 (감독 정지혜, 2024)
mklabor | 2024.07.05 | 추천 3 | 조회 664
2024.07.05 3 664
370
[만나고 싶었습니다] [129호]하나뿐인 지구에서 다 함께 살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19
2024.07.05 0 1319
369
[인권이야기] [129호] 전쟁같은 투쟁이 아닌 운동으로서의 투쟁 -밀양 행정대집행 10주기를 기억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892
2024.07.05 0 892
368
[상담실] [129호]출퇴근재해로 산재 신청하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99
2024.07.05 0 1299
367
[일터에서 온 편지] [129호]산업안전보건위원회 참여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92
2024.07.05 0 1292
366
[초점] [129호]의대증원 문제, 핵심은 숫자가 아니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79
2024.07.05 0 1279
365
[현장을 찾아서] [129호]한화자본의 노조파괴의 시작! 웰리브 식당 분할 당장 멈춰라!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85
2024.07.05 0 1385
364
[활동 글] [129호]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첫 후원문화제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68
2024.07.05 0 1368
363
[활동 글] [129호]산추련 실천학교를 통해 배우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03
2024.07.05 0 1303
362
[활동 글] [129호]<조선소, 이 사나운 곳에서도> 창원북 토크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21
2024.07.05 0 1321
361
[여는 생각] [129호]실패한 조선업 중대재해 대책을 반복적으로 내 놓은 고용노동부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3809
2024.07.05 0 38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