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7호] 갱년기장애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8-12-27 15:06
조회
4544
게시글 썸네일
갱년기 또는 폐경 이행기는 여성 신체 (난소) 의 노화에 따라 배란과 난소 호르몬 분비가 저하되며 생리 주기가 불규칙해지다가 마지막 월경 1년 후까지의 기간을 뜻한다. 이 시기의 신체적 변화로 나타나는 여러 증상들을 갱년기 장애라고 부르기도 하며, 대부분 폐경 이행기가 마쳐짐에 따라 자연히 불편한 증상들도 사라지지만, 일부 여성들에게는 일정 기간 지속되며 생활에 불편을 끼치고 삶의 질을 떨어뜨린다.

이 기간 동안, 여성들은 얼굴이나 상체가 갑자기 화끈 달아오르다가 (안면홍조) 땀 흘림을 겪을 수 있다. 이는 증상 자체도 불편하지만 다른 사람과 만나는 등 사회적 활동에 특히 성가심을 주기도 한다. 심할 경우에는 홍조 현상이 나타나 수면을 방해할 수도 있다. 그 외에도 질 건조감, 성교 시의 통증, 우울감과 초조함 등의 정서적 변화, 신체 통증 등 생활 여러 방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뼈 밀도가 줄어들고 고혈압이나 고지혈증, 당뇨 등 증상으로 느껴지지 않는 신체적 변화도 있을 수 있기때문에, 대수롭지 않게 여기거나 혼자 참고 지나가도록 해서는 안 된다.

40대 이후 생리 주기가 불규칙 해지며 위의 증상들이 나타난다면, 가까운 의료기관에 방문하여 피 검사 (혈중 여성 호르몬과 난포자극 호르몬 검사) 및 진찰 과정을 거쳐 갱년기와 연관된 증상들인지 평가하고 진단받을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증상 조절이나 향후 발생 가능한 만성 질환들의 예방 및 정기 검진 조치들의 계획을 세울 수 있다.

1차 치료는 여성 호르몬제 투여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성의 연령, 폐경 후 기간, 호르몬 투여의 금기증 여부 등 개인 별로 다양한 요소를 고려한 후 판단이 이루어져야 하므로, 의료진과의 상세한 상담이 필요하다. 북미 폐경학회의 2017년 진료 지침에서는, 호르몬 치료 시작 후 10년이 지나거나, 폐경 후 20년이 지나거나, 연령이 60세 이상인 경우 호르몬 치료와 연관된 심혈관 질환, 정맥 혈전증, 치매 발생 위험이 높아지므로, 치료를 받았을 때 얻을 수 있는 이득과 손해를 잘 따져보라고 권고하고 있다.

호르몬제가 아닌 비-호르몬 약물 요법이나, 달맞이꽃 종자유 등의 식물성 건강기능식품 제제 등을 사용하기도 하지만 충분히 효과적이라는 근거는 불충분하다. 한방의료기관의 침 치료도 안면 홍조, 땀흘림 등 증상을 단기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될 수도 있지만, 1년 이상 장기적 효과가 있는지는 불분명하다. 한약 투여도 갱년기 증상 관리에 도움이 된다는 증거는 불충분하다.
가벼운 정도라면 상관 없겠지만, 생활에 불편을 끼칠 정도의 갱년기 장애가 있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의료인의 도움과 함께 필요한 생활 관리를 시작할 필요가 있다.

참고문헌
1. 폐경 이행기 및 폐경. 서울대학교병원 의학정보
2. The 2017 hormone therapy position statement of The North American Menopause Society. Menopause 2017;24(7):728-53.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628
2025.06.02 0 628
340
[활동 글] [127호]한화라는 거대한 자본과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계속해서 싸울 것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650
2024.01.18 0 1650
339
[여는 생각] [127호]50인(억)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처벌법 전면 적용하라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3844
2024.01.18 0 3844
338
[현장 보고] [126호]대흥알앤티 화학물질 사고 이후 현장 변화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5676
2023.10.21 0 5676
337
[건강하게 삽시다] [126호]족저근막염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4535
2023.10.21 0 4535
336
[산재 판례] [126호]업무시간은 업무상 과로의 여러 고려요소 중 하나입니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11
2023.10.21 0 1811
335
[만나고 싶었습니다] [126호]노동조합은 든든한 우산이 되고, 흔들리지 않는 기둥이 된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47
2023.10.21 0 1847
334
[상담실] [126호]조금 더 친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40
2023.10.21 0 1840
333
[일터에서 온 편지] [126호]노동자를 위한 최소한의 규정 노동법 노동현장에서 반드시 지켜져야한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793
2023.10.21 0 1793
332
[초점] [126호]바다가 위험하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2733
2023.10.21 0 2733
331
[현장을 찾아서] [126호]수많은 위기들을 헤쳐 온 모트롤! 또 다시 유래없는 위기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32
2023.10.21 0 1832
330
[활동 글] [126호]국적이 다르다고 인간의 존엄까지 다를 수 없다 미얀마 이주노동자 피예이타옌의 명복을 빌며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2209
2023.10.21 0 2209
329
[활동 글] [126호]중대재해 없으면 처벌도 없다. 노동자의 생명을 보호하라.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913
2023.10.21 0 1913
328
[활동 글] [126호]안된다고 정해놓은 산업재해...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00
2023.10.21 0 1800
327
[여는 생각] [126호]지자체 발주공사 중대 재해에 대한 책임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8740
2023.10.21 0 8740
326
[현장 보고] [125호]현장보고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6759
2023.07.21 0 6759
325
[건강하게 삽시다] [125호]어깨 통증 - 회전근개 손상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91
2023.07.21 0 2191
324
[산재 판례] [125호]조선소 노동자 허리 디스크, 업무상 재해 인정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3402
2023.07.21 0 3402
323
[만나고 싶었습니다] [125호]‘약한자의 힘’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가기」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260
2023.07.21 0 2260
322
[상담실] [125호]스스로 만든 지침도 안 지키는 근로복지공단?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99
2023.07.21 0 2199
321
[일터에서 온 편지] [125호]한국지엠 자본의 꼼수에 대항해 우리의 요구와 권리를 쟁취!!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3387
2023.07.21 0 33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