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호] 근막통증 증후군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8-01-02 15:31
조회
3799

대체로 치료를 해도 잘 낫지 않는 근육통증이 있다면 근막 통증 증후군이 아닌지 확인할 필요가 있다.
근막 통증 증후군은 왜 생기는가?
아래와 같은 요인이 근막 통증 증후군이 생기거나 더 심해지게 하는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 근육의 급성 외상 (갑자기 부딪히거나 넘어지는 등)
- 만성적인 근육 스트레스 (물건 들기, 볼트 조이기, 수건 짜기 등 특정 동작을 반복하는 등)
- 부자연스럽고 불편한 자세 (사무직 노동자들이 책상에 앉아 장시간 일하며 목과 등을 거북이처럼 굽히거나, 현장에서 위를 보고 용접을 지속하며 부자연스러운 자세로 오래 일하기 등)
- 정서적 스트레스 (긴장과 스트레스 상태가 지속되며 자율신경계 기능장애 발생 및 근육 통증의 만성화)
- 호르몬 이상 (갑상선 기능 저하증 등)
진찰과 치료
근막통증 증후군 진단은, 환자의 증상과 의사의 상세한 진찰로 이루어진다. 국소적 통증이 있고, 통증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나타나며, 증상과 관련된 신경학적/기타 이상 소견이 없어야 한다. 영상 검사나 혈액 검사 등은 혹시 다른 원인이 없는지 가려낼 필요가 있을 때 적용된다.
치료는 약물 복용 (진통제 및 근육이완제), 신체 이완 및 스트레칭 운동, 국소 허혈 마사지 요법, 온열자극 및 물리치료, 국소 부위 건침술 (dry needling), 침 치료 등이 있다.
그러나 치료 이전에 예방이 중요하며, 노동자들의 작업 환경은 근골격 재해 중 하나인 근막통증 증후군의 발생과 연관된 중요한 요인이다. 치료를 해도 잘 낫지 않는 근육통과 함께 평소 불편한 자세로 오래 일하거나, 정서적 만성 근육 스트레스에 노출되는 등 문제 있는 작업환경을 경험하고 있다면, 노동조합 또는 노동건강단체, 직업환경의학 전문의를 만나 개인적, 의료적 관리 차원을 넘는 환경 변화가 필요하다.
같은 호의 글:
[여는 생각] 결국 돈 때문이다.
[활동 글] Workers, Unite! 노동자는 하나다!
[활동 글] 노조깨고 사람자르는 대림그룹 대림자동차는 비정규직화와 노동자해고 예고하는 법인분할 철회하라
[상담실] 1년 지나서 재계약 하자고 할까봐 겁나요
[초점] 문재인 정부의 노동정책 진단과 우리의 과제
[산재 판례] 현재의 의학수준에서 곤란하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인과관계를 쉽사리 부정할 수 없다
[일터에서 온 편지] “ 그게 저는 더 무서워요~!! ”
[건강하게 삽시다] 근막통증 증후군
[만나고 싶었습니다] 해고 15년만의 복직
[현장을 찾아서] 공공운수노조 교육공무직이 궁금하다구요
전체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