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3호]현재의 의학수준에서 곤란하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인과관계를 쉽사리 부정할 수 없다

[산재 판례]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8-01-02 15:30
조회
2842
인과관계를 명확히 규명하는 것이
현재의 의학수준에서 곤란하다고 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인과관계를 쉽사리 부정할 수 없다
(대법원 2017. 8. 29. 선고 2015두3867)

대법원은 삼성전자 천안 LCD공장에서 근무하다 다발성 경화증이 발생하여 산재신청하였으나 불승인되어 행정소송을 제기한 사건에 대해서 업무와 질병 사이에 인과관계를 부정한 원심을 파기하고, 사건을 서울고등법원으로 환송하였다.
근로복지공단의 의뢰를 받은 산업안전보건연구원은 사업장을 방문하여 역학조사를 하였는데, 그 결과는 “신체적, 정신적 스트레스를 받을 만한 조건으로 판단되나, 현재 스트레스와 다발성 경화증에 대한 업무관련성을 판단할 만한 충분한 의학적 검토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업무관련성이 높다고 단언하기에는 무리가 있다”는 내용이었다. 즉, 의학적 연구결과의 미진함에 대한 불이익은 노동자가 감수하라는 태도였던 것이다.
그러나, 대법원은 연구가 부족하여 밝혀지지 않은 상황을 노동자의 불이익으로 감수하라는 태도에서 벗어나 현실에 부합하는 판결을 내렸다. 대법원은, 노동자에게 발병한 질병이 이른바 ‘희귀질환’ 또는 첨단산업현장에서 새롭게 발생하는 유형의 질환에 해당하고 그에 관한 연구결과가 충분하지 않아 발병원인으로 의심되는 요소들과 노동자의 질병 사이에 인과관계를 명확하게 규명하는 것이 현재의 의학과 자연과학 수준에서 곤란하더라도 그것만으로 인과관계를 쉽사리 부정할 수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대법원의 판결을 좀 더 살펴보면, 사업주의 협조 거부 또는 관련 행정청의 조사 거부나 지연 등(공정에서 취급하는 유해화학물질 현황이 영업비밀이라며 비공개되었고, 역학조사 당시는 노동자가 노출된 날로부터 몇 년이나 경과된 이후였다)으로 그 질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작업환경상 유해요소들의 종류와 노출 정도를 구체적으로 특정할 수 없었다는 등의 특별한 사정이 인정된다면, 이는 상당인과관계를 인정하는 단계에서 노동자에게 유리한 간접사실로 고려할 수 있다고 판단하여, 사실관계 조사에 대한 현실적인 한계를 노동자의 불이익으로 감수하라는 기존 태도에도 경종을 울렸다.
특히, “사업장에서 개별적인 화학물질의 사용에 관한 법령상 기준을 벗어나지 않더라도, 그것만으로 안전하다고 단정할 수도 없다”고 지적하여, 유해물질의 법령상 허용범위가 정책적 범위일 뿐이지, 안전을 보장하는 범위가 아니라는 점을 명확히 하였고, “작업환경에 여러 유해물질이나 유해요소가 존재하는 경우 개별 유해요인들이 특정 질환의 발병이나 악화에 복합적·누적적으로 작용할 가능성을 간과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하여 각 유해물질의 복합적인 작용 역시 고려해야 한다는 점을 명확히 하였다는 점에서 진일보된 판결이다.
본 판결은 첨단산업에서 희귀병의 발병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산업재해 전반의 인관관계를 판단함에 있어, 의학적 연구의 미비, 사업주의 비협조, 시간의 경과 등에 의해 판단기준이나 사실관계가 불명확한 경우, 노동자에게 불리한 사정으로만 판단하였던 그간의 관점을 변경하여, 인과관계의 폭을 현실적으로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상당히 의미가 큰 판결이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13
2025.06.02 0 813
93
[활동 글] [132호]노가다가 아닌 노동자로 삽니다- 건설노동자들이 말하는 노동, 삶, 투쟁기록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11
2025.06.02 0 111
92
[활동 글] [132호]석탄화력발전소 폐쇄로 인한 현장의 고용불안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08
2025.06.02 0 108
91
[활동 글] [131호]산재승인까지 8개월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6
2025.02.06 0 476
90
[활동 글] [131호]세상 모든 노동자들의 이유있는 밤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0
2025.02.06 0 470
89
[활동 글] [131호]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한화오션과 그 죽음을 방관하는 통영지청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6
2025.02.06 0 476
88
[활동 글] [130호]노동력이 아니라 사람이 왔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70
2024.10.15 0 670
87
[활동 글] [130호]여름철 조선소 뜨거운 현장, 이곳이 바로 고온 현장이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830
2024.10.15 0 830
86
[활동 글] [129호]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첫 후원문화제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82
2024.07.05 0 1382
85
[활동 글] [129호]산추련 실천학교를 통해 배우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14
2024.07.05 0 1314
84
[활동 글] [129호]<조선소, 이 사나운 곳에서도> 창원북 토크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32
2024.07.05 0 1332
83
[활동 글] [128호]조선소 이 사나운곳에서도
mklabor | 2024.04.11 | 추천 0 | 조회 1599
2024.04.11 0 1599
82
[활동 글] [128호]죽음의 조선소, 얼마나 많은 노동자가 죽어야 하는가
mklabor | 2024.04.11 | 추천 0 | 조회 1654
2024.04.11 0 1654
81
[활동 글] [127호]현대그룹에 불어닥친 ‘자회사 꼼수’ 바람..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689
2024.01.18 0 1689
80
[활동 글] [127호]한화라는 거대한 자본과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계속해서 싸울 것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660
2024.01.18 0 1660
79
[활동 글] [126호]국적이 다르다고 인간의 존엄까지 다를 수 없다 미얀마 이주노동자 피예이타옌의 명복을 빌며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2226
2023.10.21 0 2226
78
[활동 글] [126호]중대재해 없으면 처벌도 없다. 노동자의 생명을 보호하라.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935
2023.10.21 0 1935
77
[활동 글] [126호]안된다고 정해놓은 산업재해...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21
2023.10.21 0 1821
76
[활동 글] [125호]밥통이 만들어내는 또 다른 연대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72
2023.07.21 0 2172
75
[활동 글] [125호]이주노동자는 쓰다가 버리는 일회용품이 아니다! 고용허가제 폐지하고 사업장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라!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3001
2023.07.21 0 3001
74
[활동 글] [125호]이주노동자와 정주노동자가 함께 투쟁하는 조선소를 꿈꾼다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89
2023.07.21 0 21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