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0호] 몸통 외상 수술 (개흉술)후 만성 통증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7-03-24 15:28
조회
4580
게시글 썸네일
높은 곳에서 떨어지거나 (추락), 물체에 강하게 부딪히거나 (충격), 교통사고 및 노동 현장의 재해 등으로 몸통 및 옆구리 부위 외상을 입는 경우가 있다. 이 과정에서 갈비뼈가 부러지고 심장, 폐 등의 가슴 속 장기가 손상되는 위중한 손상을 입어 수술 후 긴 회복 과정을 거칠 수 있다. 이 때 나타나는 통증은 수술 후 시간이 지나며 자연스럽게 없어질 수도 있지만 때때로 만성화되어 삶의 질을 저하시키고 일상 생활로의 복귀를 방해하게 된다.

위중한 외상에 따르는 뼈, 근육 등의 조직 손상, 또 수술 도중 어쩔 수 없이 발생하는 갈비뼈 사이 신경 손상 등이 통증을 지속시키는 원인일 수 있다. 하지만, 만성 통증의 경우 여러 조건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어느 하나로 원인을 꼭 짚어낼 수는 없다.

수술 후 2개월이 지난 후에도 통증을 느끼게 된다면 만성 수술 후 통증 (만성 개흉술 후 통증) 으로 분류할 수 있다. 얼마나 자주 나타나는지 정확한 통계는 없지만, 외국의 사례를 보면 수술을 받은 사람들 중 약 25%~60%가 수술 후 만성 통증이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수술 후 6개월 또는 1년 후까지 관찰한 결과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작업장에서 사고를 당해 수술을 받게 되면, 예상보다 회복이 더디게 될 수도 있음을 알아야 한다. 어떤 사람들은 수술 후 순조롭게 잘 회복하지만, 어떤 사람들은 그렇지 않고 1년 이상 오랜 기간 동안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현재로서는 이를 잘 예측할 수 없다.

통증에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일반적인 원칙은 아래와 같다.

1. 처방된 진통 약물을 지시에 따라 잘 복용한다.
2. 약물로 잘 조절되지 않을 경우 국소적 신경차단술 등의 주사치료 등이 있으며, 담당 의료진과 적극적인 태도로 상의한다. 처방하는 약물이나 치료의 불편한 점을 상세히 이야기해야 환자에게 잘 맞는 치료를 찾을 수 있다.
3. 만성 증상이 있는 경우, 아픈 곳을 따뜻하게 찜질하거나 물리치료를 지속적으로 한다.
4. 정서적 긴장이나 불안은 통증을 심하게 할 수 있으므로, 긴장 완화를 위해 심호흡을 자주 한다. 쉬는 시간과 잠 자는 시간이 부족하지 않아야 한다.
5. 담배, 술 등은 회복을 느리게 할 수 있으므로 끊거나 가능한 멀리 한다.
6. 최소한 30분 이상의 신체 운동을 매일 한다. 가볍게 걷기라도 한다.
7. 침 치료는 만성 통증의 조절에 효과적일 수 있다. 하지만 언제나 그렇진 않으므로, 3개월 동안 12-16회 정도 치료를 시도해 볼 수 있다. 한약은 만성 통증에 효과적이라는 설득력 있는 근거가 아직 없다.
8. 고가의 특수 치료 역시 근거가 없으므로 현혹되지 않는다.

*개흉술은 흉벽 (가슴 및 옆구리벽) 을 절개하여 흉강 (가슴의 공간) 안에 있는 장기의 질병이나 외상으로 인한 손상을 치료하는 수술 방법이다.

학생 때 처음 마창산추련을 알게 되었습니다. 노동자 건강과 노동해방을 위한
마창거제 산추련의 우직한 발걸음을 지지합니다. 소식지 발간 100호를 축하드립니다.  ( 양산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김건형드림)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38
2025.06.02 0 838
93
[활동 글] [132호]노가다가 아닌 노동자로 삽니다- 건설노동자들이 말하는 노동, 삶, 투쟁기록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11
2025.06.02 0 111
92
[활동 글] [132호]석탄화력발전소 폐쇄로 인한 현장의 고용불안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09
2025.06.02 0 109
91
[활동 글] [131호]산재승인까지 8개월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9
2025.02.06 0 479
90
[활동 글] [131호]세상 모든 노동자들의 이유있는 밤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1
2025.02.06 0 471
89
[활동 글] [131호]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한화오션과 그 죽음을 방관하는 통영지청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7
2025.02.06 0 477
88
[활동 글] [130호]노동력이 아니라 사람이 왔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70
2024.10.15 0 670
87
[활동 글] [130호]여름철 조선소 뜨거운 현장, 이곳이 바로 고온 현장이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831
2024.10.15 0 831
86
[활동 글] [129호]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첫 후원문화제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96
2024.07.05 0 1396
85
[활동 글] [129호]산추련 실천학교를 통해 배우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31
2024.07.05 0 1331
84
[활동 글] [129호]<조선소, 이 사나운 곳에서도> 창원북 토크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50
2024.07.05 0 1350
83
[활동 글] [128호]조선소 이 사나운곳에서도
mklabor | 2024.04.11 | 추천 0 | 조회 1609
2024.04.11 0 1609
82
[활동 글] [128호]죽음의 조선소, 얼마나 많은 노동자가 죽어야 하는가
mklabor | 2024.04.11 | 추천 0 | 조회 1662
2024.04.11 0 1662
81
[활동 글] [127호]현대그룹에 불어닥친 ‘자회사 꼼수’ 바람..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698
2024.01.18 0 1698
80
[활동 글] [127호]한화라는 거대한 자본과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계속해서 싸울 것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667
2024.01.18 0 1667
79
[활동 글] [126호]국적이 다르다고 인간의 존엄까지 다를 수 없다 미얀마 이주노동자 피예이타옌의 명복을 빌며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2231
2023.10.21 0 2231
78
[활동 글] [126호]중대재해 없으면 처벌도 없다. 노동자의 생명을 보호하라.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939
2023.10.21 0 1939
77
[활동 글] [126호]안된다고 정해놓은 산업재해...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25
2023.10.21 0 1825
76
[활동 글] [125호]밥통이 만들어내는 또 다른 연대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74
2023.07.21 0 2174
75
[활동 글] [125호]이주노동자는 쓰다가 버리는 일회용품이 아니다! 고용허가제 폐지하고 사업장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라!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3004
2023.07.21 0 3004
74
[활동 글] [125호]이주노동자와 정주노동자가 함께 투쟁하는 조선소를 꿈꾼다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92
2023.07.21 0 2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