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4호] 안면신경마비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23-05-15 17:41
조회
4325
게시글 썸네일
안면신경마비는, 갑자기 얼굴의 한 쪽이 마비되어 표정을 짓는 기능에 이상이 생겨 이마에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거나 입의 한 쪽이 돌아가고 혀에서 맛을 이상하게 느끼거나 감각이 이상해지는 등, 제 7번 뇌신경인 안면신경 부위의 염증으로 신경 기능이 손상되어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한의학에서는 ‘구안와사’ 라는 병명으로 분류되고 주로 차고 습한 환경에 노출되거나 몸을 외부의 사기로부터 지켜주는 정기가 부족하거나 또는 그 두 조건이 함께 있어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보고 있습니다. 어린이부터 노인까지 다양한 연령대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외상으로 인한 안면신경의 직접 손상, 특별한 계기 없이 발생한다고 하여 이름 붙이는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 안면신경이 대상포진 바이러스에 감염되어 심한 통증, 물집과 함께 발생하는 ‘람세이-헌트 증후군’, 안면신경 근처의 종양이 자라나 신경을 압박해서 생기는 마비, 뇌졸중/뇌출혈 등 뇌혈관질환에 의해 다른 신경계 증상과 함께 발생하는 마비 등 다양한 원인이 있을 수 있지만, 대체로 ‘특발성’ 안면신경 마비가 가장 흔하게 발생합니다.

증상은, 입이 한 쪽으로 돌아가거나, 이마 주름이 안 잡힌다거나, ‘이~’ 하고 표정짓거나 풍선에 바람을 불 듯이 뺨을 부풀리는 듯한 동작이 안 되는 것입니다. 안면신경은 머리 바깥쪽 뼈 (측두골) 방향으로 위치하고 유양골 (머리 옆 귀 부위의 뼈) 속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마비 발생 2-3일 전이나 마비 발생 직후에는 귀 뒤가 아프기도 합니다.
안면마비 발생하면, 마비가 시작된 후 1주일 이내 스테로이드 투여로 안면신경의 염증을 억제하는 것이 후유증을 방지하고 사태 초반의 마비 개선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이후에는 안면신경의 마비를 회복시키기 위한 물리요법과 침 치료 등을 하면서 경과를 관찰합니다. 얼굴 표정이 좌우 다르다고 느껴진다면, 진료를 늦추지 말고 곧바로 의료기관으로 가야 합니다. 안면신경마비 발생 6개월 후에도, 마비가 불완전하게 회복된 경우 잘 낫지 않는 후유증으로 남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또한, 팔/다리에 힘이 갑자기 떨어지거나, 의식을 깜박 잃거나 저하되는 등 급성 뇌신경질환 증상이 동반된다면, 말초신경인 안면마비가 아니라 종양이나 뇌혈관질환으로 인한 응급 상황이 강하게 의심되므로 알게 된 즉시 응급의료기관에 방문해야 합니다.

미나리아재비 등 생 약초를 찧어 마비 부위에 붙이는 등의 민간요법은 도움이 되지 않고 오히려 자극성 피부염을 일으킬 수 있으며 진찰과 정규 치료를 시의적절하게 받지 못하도록 하므로 피해야 합니다.

만약 ‘안면마비가 발생했다면’
발생 1주일 이내에 스테로이드 치료를 받는다.
침 치료는 그 이후 집중하여 받는다
뇌혈관질환 (뇌졸중) 이 있으면 말초 안면신경마비가 아니므로 응급상황이다.
민간요법은 하지 않는다.
이 4가지는 꼭 기억하셔서 후유증이 남지 않도록 하시면 좋겠습니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610
2025.06.02 0 610
400
[만나고 싶었습니다] [131호]노래로 투쟁하며 만들어가는 세상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16
2025.02.06 0 416
399
[인권이야기] [131호]쿠테타 3번이나 일으킨 군대 꼭 있어야 하나?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274
2025.02.06 0 274
398
[상담실] [131호]산재 요양 중에도 상여금 받을 수 있을까?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647
2025.02.06 0 647
397
[일터에서 온 편지] [131호]악몽 같은 8월 2일!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25
2025.02.06 0 425
396
[초점] [131호]집단학살과 식민점령에 맞서, 팔레스타인 해방의 연대자가 되자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12
2025.02.06 0 412
395
[현장을 찾아서] [131호]한국옵티칼하이테크 투쟁은 과거와 현재를 가르고 있습니다.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43
2025.02.06 0 443
394
[활동 글] [131호]산재승인까지 8개월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39
2025.02.06 0 439
393
[활동 글] [131호]세상 모든 노동자들의 이유있는 밤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33
2025.02.06 0 433
392
[활동 글] [131호]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한화오션과 그 죽음을 방관하는 통영지청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35
2025.02.06 0 435
391
[여는 생각] [131호]2024년 생명안전 경남지역의 주요 이슈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3097
2025.02.06 0 3097
390
[노동재해직업병소식] [130호]예견된 참사는 이제 그만.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148
2024.10.15 0 1148
389
[현장 보고] [130호]아버지 죽음의 진실을 밝히려 합니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84
2024.10.15 0 684
388
[건강하게 삽시다] [130호]온열질환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131
2024.10.15 0 1131
387
[산재 판례] [130호]택시노동자 사측의 부당 행위에 장기간 투쟁퇴근길 무면허에 과속 운전했지만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사정, 사고발생 경위 등 고려해서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547
2024.10.15 0 1547
386
[영화로세상일기] [130호]교육받을 권리
mklabor | 2024.10.15 | 추천 2 | 조회 353
2024.10.15 2 353
385
[노동몸삶] [130호]돌봄노동자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315
2024.10.15 0 315
384
[노동몸삶] [130호]돌봄노동자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297
2024.10.15 0 297
383
[만나고 싶었습니다] [130호]9년이라는 긴 싸움, 지엠비정규직 노동자의 투쟁은 옳았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22
2024.10.15 0 622
382
[인권이야기] [130호]어린 사람은 아랫 사람이 아니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311
2024.10.15 0 311
381
[상담실] [130호]휴업급여 지급 요건의 비현실성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20
2024.10.15 0 6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