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6호] 사무실을 옮기다
[여는 생각]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8-10-18 16:48
조회
3270

이사는 2018년 9월 6일 오후 5시부터 시작되었다. 3층에서 4층으로,
일찍 온 회원들은 이전할 사무실에 미리 가서 바닥을 열심히 닦았다. 5시가 넘어서면서 회원들을 포함해 많이 이들이 모였다. 이사가 시작되자 그 많은 짐이 순식간에 옮겨졌다. 불과 1시간 만에 대부분의 짐이 옮겨지는 동시에 짐이 풀어졌다. 모두들 저녁을 먹고 기존의 사무실 청소 작업과 새로운 사무실 짐을 정리하는 작업을 동시에 시작했다.(그 만큼 많은 인원이 모였다.) 기존의 사무실은 깔끔해졌고 새로운 사무실은 짐으로 넘쳐났다. 그렇게 사무실은 옮겨졌다.
1995년부터 현재까지 23년의 세월을 함께 보낸 곳을 정리하는 작업.
노동운동과 노동자 건강권 운동의 역사가 고스란히 사무실 곳곳에 스며들어 있었다. 옮기는 짐에는 역사의 흔적이 남아 있는 듯 노란색 종이로 인쇄된 책들(흔히 ‘똥 종이’라고 불리는)과 지금은 거의 사용하지 않는 한문이 뒤섞여 있는 책, 지금과는 전혀 다른 양식의 작업환경측정보고서 그리고 오래된 노동법과 산안법, 그리고 투쟁 보고서와 유인물 등이 한 짐 가득했다. 수련회 자료집은 사람들이 당시 어떤 고민이 있었는지를 보여주고 빽빽하게 쓰여진 유인물과 책자는 그 분야에 제대로 공부하고 활동하지 않고서는 도저히 쓸 수 없는 내용으로 채워져 있었다. 당시 수련회를 기획했던 사람과 수련회에 참석한 사람들 그리고 유인물과 책자를 발간한 사람들과 그것을 읽은 사람들은 젊은 시절 더 이상 볼 것 같지 않은 자료들과 기록만으로 남겨야할 자료들 속에 머무르고 있다. 지금의 산추련이 다양한 지식과 활동이 가능한 것은 이들의 수고로 인한 것이다.
사무실을 이사 한 지금 이 시간에도 회원들과 활동가들 그리고 노동자들이 모여 자료들을 축적하고 있다. 지금부터 남겨질 자료들은 어떤 것이 될 것인가?

같은 호의 글:
[여는 생각] 사무실을 옮기다
[활동 글] 책도 좋지만 책보다 더 좋기도 한, 영화
[활동 글] 함께 꿈꾸고 함께 짓고 함께 나누는 소통과 연대의 공간
[상담실] 국장님은 한국사람 아니요
[초점] 노동시간 단축을 바라보며
[산재 판례] 지입차주 형식이어도 임금을 목적으로 근로를 제공했다면 근로자에 해당한다
[일터에서 온 편지] 그래한번 가보자!
[건강하게 삽시다] 만성허리통증
[만나고 싶었습니다] 삼성중공업 크레인 사고피해노동자 법률지원단 인터뷰
[현장 보고] 현장보고
[현장을 찾아서] 현대중공업 노동조합운동에서의 ‘1사1조직’ 경과와 과제
전체 4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