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6호]지자체 발주공사 중대 재해에 대한 책임

[여는 생각]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23-10-21 15:32
조회
8761
게시글 썸네일

김병훈 민주노총경남지역본부 노안국장



2023년 5월 15일 김해 오수관로 질식 2명 사망,
2023년 6월 17일 경상남도 도로관리사업소 벌목 작업 중 1명 사망,
2023년 7월 2일 남해군 도서관 공사 추락 1명 사망,
2023년 8월 14일 창원시 마산 어시장 추락 1명 사망
2023년 9월 26일 김해 오수관로 질식 2명 사망

지자체에서 최근 발주한 공사에서 노동자가 사망하는 일이 연이어 발생하고 있다. 지난 5월부터 9월까지 중대 재해가 한 달에 1건 발생하였고, 총 7명이 사망하였다. 하지만, 해당 지자체들은 사망 사고에 대해서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으며, 자신들은 책임이 없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남지역은 2022년 1월 27일부터 2023년 7월까지 경상남도를 포함하여 각 시구군이 발주한 공사 건수는 3,952건이며, 공사금액만 해도 약 3조에 이르고 있는 등 많은 공사가 진행되고 있어, 발주공사라는 이유로 책임을 면하게 하는 것은 공공기관발 위험의 외주화가 될 우려가 매우 높다. 경남지역만해도 이 정도 인데 전국 지자체 발주공사 규모는 상당할 것이다.

지자체가 발주한 공사에서 발생한 중대 재해 발생 원인을 보면 지자체에서 발주 단계부터 하도급의 안전보건에 대한 기술 능력을 검증하고 모니터링을 했다면 충분히 막을 수 있는 사고라는 것이다. 예를 들면, 창원시에서 발주한 마산 어시장 추락 사고의 경우 조달청에서 물품 구입 계약을 하면서 설치까지를 용역으로 맡겼다. A 업체에서 입찰하였고, A 업체는 다시 설치와 관련하여 B 업체에 하도급을 준 것이다. 대형 공사도 아닌 상황에서 하도급을 줄 정도면 입찰 업체가 사실상 설치 기술 능력이 부족하였음을 충분히 의심 할 만하다. 특히, 도급인이 하도급을 줄 때는 발주관서인 창원시의 승인을 받아야 하기 때문에 도급 업체의 기술 능력 부족 등에 대해 인지를 했을 것이다. 결국 기술 능력 및 안전보건에 대한 검증 절차 없이 발주를 주는 관행이 노동자를 죽음에 이르게 한 것이다. 4명을 사망하게 만든 오수관로 중대 재해 역시 마찬가지다. 5월에 오수관로 사망 사고가 발생했다면, 오수관로 중대 재해 위험을 인식하고 동종 재해를 막기 위한 절차 마련 등을 해야 했음에도 그렇게 하지 않아 또다시 9월에 2명의 노동자를 죽음에 이르게 하였다.
이처럼 지자체에서 발주를 준 대다수의 중대 재해의 원인은 바로 해당 지자체가 안전보건 능력에 대해 제대로 된 검증도 하지 않고, 발주를 준 후 관리를 하지 않아 발생하는 것으로 지자체의 책임이 명백하다.

따라서, 발주 과정에서 하도급 및 발주공사 시스템을 전반적으로 개편하여 하도급업체의 안전보건 능력에 대해 확인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야 한다. 이를 통해서 해당 작업의 위험에 대해 안전보건 능력 여부를 심사하여 위험을 관리할 수 있는 업체를 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위험을 제대로 관리하고 있는지에 대한 모니터링 등을 실시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고용노동부 및 사법 당국은 지자체의 발주공사에 대한 책임을 더욱 엄격히 물어야 할 것이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739
2025.06.02 0 739
380
[일터에서 온 편지] [130호]열정과 패기로 지역의 동지들과 함께 새로운 노동조합을!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117
2024.10.15 0 1117
379
[초점] [130호]2024년 국정감사 산재보험 관련 대응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48
2024.10.15 0 648
378
[현장을 찾아서] [130호]작은 사업장의 민낯 드러낸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43
2024.10.15 0 643
377
[활동 글] [130호]노동력이 아니라 사람이 왔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39
2024.10.15 0 639
376
[활동 글] [130호]여름철 조선소 뜨거운 현장, 이곳이 바로 고온 현장이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797
2024.10.15 0 797
375
[여는 생각] [130호]폭염 대책 작업 시간을 제한해야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3752
2024.10.15 0 3752
374
[현장 보고] [129호]현장보고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956
2024.07.05 0 1956
373
[건강하게 삽시다] [129호] 손발저림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02
2024.07.05 0 1302
372
[산재 판례] [129호]택시노동자 사측의 부당 행위에 장기간 투쟁하다 분신 사망,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60
2024.07.05 0 1260
371
[영화로세상일기] [129호] 피해자 각본을 깨고 더 나은 것과 연결되는 삶:정순 (감독 정지혜, 2024)
mklabor | 2024.07.05 | 추천 3 | 조회 664
2024.07.05 3 664
370
[만나고 싶었습니다] [129호]하나뿐인 지구에서 다 함께 살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17
2024.07.05 0 1317
369
[인권이야기] [129호] 전쟁같은 투쟁이 아닌 운동으로서의 투쟁 -밀양 행정대집행 10주기를 기억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892
2024.07.05 0 892
368
[상담실] [129호]출퇴근재해로 산재 신청하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97
2024.07.05 0 1297
367
[일터에서 온 편지] [129호]산업안전보건위원회 참여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90
2024.07.05 0 1290
366
[초점] [129호]의대증원 문제, 핵심은 숫자가 아니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77
2024.07.05 0 1277
365
[현장을 찾아서] [129호]한화자본의 노조파괴의 시작! 웰리브 식당 분할 당장 멈춰라!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83
2024.07.05 0 1383
364
[활동 글] [129호]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첫 후원문화제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67
2024.07.05 0 1367
363
[활동 글] [129호]산추련 실천학교를 통해 배우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01
2024.07.05 0 1301
362
[활동 글] [129호]<조선소, 이 사나운 곳에서도> 창원북 토크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19
2024.07.05 0 1319
361
[여는 생각] [129호]실패한 조선업 중대재해 대책을 반복적으로 내 놓은 고용노동부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3808
2024.07.05 0 3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