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호]출퇴근재해 소급적용에 대한 판례

[산재 판례]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20-05-22 18:20
조회
5184
게시글 썸네일
2018. 1. 1. 이후 발생한 출퇴근 사고만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부칙이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았다(2018헌바218)


                                       허혜영 변호사 // 법무법인 믿음


헌법재판소는 2016. 9. 29. 2014헌바254 결정으로, 구 산재보험법 조항에 대하여 '통상의 출퇴근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아니한 것은 헌법에 합치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헌법불합치결정을 하였다. 이로써 2017. 10. 24. 산재보험법이 개정되어, 사업주가 제공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도보나 대중교통수단, 자기 소유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출퇴근 하던 중 사고를 당하였더라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개정 산재보험법은 부칙에서 '이 법은 2018. 1. 1.부터 시행한다'(제1조), '제37조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발생하는 재해부터 적용한다'(제2조)고 정하여, 2018. 1. 1. 이전에 통상의 방법으로 출퇴근하던 중 발생한 사고의 경우에는 여전히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근로복지공단의 처분이 잇달았다.

그런데 헌법재판소가 2019. 9. 26. 위 산재보험법 부칙 제2조에 대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함으로써, 개정 산재보험법 시행일(2018. 1. 1.) 이전에 발생한 출퇴근 사고의 경우에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것이다.

헌법재판소는 이번 결정에서 ‘통상의 출퇴근 사고가 개선입법 시행일 이후에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보험급여 지급 여부를 달리하는 것은 합리적 이유 없는 차별취급이고, 선행 헌법불합치 결정의 취지에도 어긋나 헌법상 평등원칙에 위반된다’고 하면서, 2020. 12. 31. 까지 개선입법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적어도 선행 헌법불합치 결정일인 2016. 9. 29. 이후에 통상의 출퇴근 사고를 당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신법 조항을 소급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후, 서울행정법원은 개정 산재보험법 시행 전인 지난 2017. 11. 29. 발생한 출퇴근 사고에 대하여 근로복지공단이 구 산재보험법을 적용하여 업무상 재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결정한 유족급여부지급 처분을 취소하는 판결을 하였다(2019. 12. 12 선고 2018구합85709 판결).

이 판결에서 서울행정법원은 이번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라, 통상의 출퇴근 사고를 업무상재해로 인정하지 않았던 구산재보험법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일인 2016. 9. 29. 이후에 통상의 출퇴근 사고를 당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개정 산재보험법을 적용하여 업무상 재해 해당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13
2025.06.02 0 813
280
[활동 글] [122호]화학물질 중대 재해 발생 이후 무책임한 사측! 안일한 태도의 노동부와 검찰!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635
2022.11.04 0 2635
279
[활동 글] [122호]복지 전문 회사 웰리브? 붉은 고무 장갑. 파란 앞치마의 투쟁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889
2022.11.04 0 2889
278
[여는 생각] [122호]아직 살아 있는 우리는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3128
2022.11.04 0 3128
277
[현장 보고] [121호]마창대교 요금소 노동자 사고경험과 불안실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022
2022.07.27 0 3022
276
[건강하게 삽시다] [121호]온열질환과 노동자 건강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4183
2022.07.27 0 4183
275
[산재 판례] [121호]출퇴근 재해 ‘출근 경로의 일탈·중단’ 엄격하게 판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099
2022.07.27 0 3099
274
[만나고 싶었습니다] [121호]노후설비 안전관리 특별법 제정투쟁에 나선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부산경남지부 윤위준 노안보위원장을 만나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699
2022.07.27 0 2699
273
[121호]장해등급 결정 기준의 공정성과 현실성에 대하여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1016
2022.07.27 0 1016
272
[일터에서 온 편지] [121호]거제지역 최저임금 적용 실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59
2022.07.27 0 2559
271
[초점] [121호]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자본의 자유확대와 노동규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58
2022.07.27 0 2558
270
[현장을 찾아서] [121호]한국지엠 불법파견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54
2022.07.27 0 2554
269
[활동 글] [121호]노동자의 죽음이 계속해서 반복될 수밖에 없는 실상을 고발한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700
2022.07.27 0 3700
268
[활동 글] [121호]차별금지법 제정, 지금 당장도 늦다! 국회는 차별금지법 즉각 제정하라!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21
2022.07.27 0 2521
267
[활동 글] [121호]노동 환경 개선단에 참여하며 퍼스텍 지회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97
2022.07.27 0 2497
266
[활동 글] [121호]아프지 않고, 다치지 않고 출근 했던 그대로 퇴근 하는 게 우리의 작은 바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93
2022.07.27 0 2493
265
[여는 생각] [121호]기로에 선 중대재해처벌법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4141
2022.07.27 0 4141
264
[현장 보고] [120호] 조직팀 현장보고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48
2022.04.21 0 2848
263
[건강하게 삽시다] [120호]코로나 감염 후 증상 관리에 도움되는 건강보험 한약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746
2022.04.21 0 2746
262
[산재 판례] [120호]감시단속 근로자인 학교 야간 경비원 뇌경색 사망 산재 인정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40
2022.04.21 0 2840
261
[만나고 싶었습니다] [120호] 건설노조 경남건설기계지부 동지들을 만나다.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734
2022.04.21 0 27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