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6호]예견된 사고, 이번이 끝이 아니라 시작일 수 있습니다.

[활동 글]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21-04-02 13:40
조회
3474
게시글 썸네일

김성복 //현대위아창원비정규직지회 노안부장


우려하던 일이 현실이 되었습니다.
1월 11일 17시 55분경. 4공장 단조공정에서 큰 사고가 발생하였습니다.  소재 리워크 작업을 위해 설비 내 소재 투입 후 타 작업자가 설비를 수동가동하여 협착된 사고였습니다.  사고 후 현장에서는 “일어날 사고가 일어났다. 언제라도 일어날 수 있는 사고였다”라는 안타까움의 탄식이 터져 나왔습니다. 현장 노동자는 늘 사고에 대한 불안감을 가지고 작업을 해왔고 이것이 어제의 사고로 현실이 되어버렸습니다.
공장합리화의 과정으로 공장재편 이후 4공장 단조공정에서만 이것이 두번째 사고입니다. 2019년 11월에도 단조공정에서 금형교체를 이어서 하는 도중 손이 들어가 있는 상황에서 수동스타트 버튼을 눌러 프레스가 내려와 손가락이 절단되는 사고가 있었습니다.
당시에도 수많은 문제점이 지적 되었고 지회에서는 이에 대한 안전조치를 요구한 바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사고 이 후에도 실효성이 있는 재발방지대책이 수립되었는지는 의문이 듭니다.
설비에 설치 되어있던 안전센서는 무용지물이었고, 안전블럭에 대한 인지도 제대로 되어 있지 않았습니다. 안전교육은 형식상의 교육일 뿐. 사고예방을 위한 효율성 있는 교육은 이루어지지 않았습니다. 사고예방을 위한 조치와 안전보다는 생산을 위한 압박으로 최소한의 안전장치 조차 할수 없는 상황이라는 말이 현장의 여러 작업자의 입을 통해 흘러나왔습니다.

지회는 재해 발생 당일부터 신속한 초동대처와 금속노조 경남지부와 현대위아지회, 산업재해추방연합(산추련)과 함께 지속적으로 재발방지대책과 산업재해관련 공정의 작업자의 후속조치에 대한 회의를 진행하였습니다.
13일 지회 노안부에서는 사용중지 명령을 받은 (P)공정 (사고장비포함) 외 단조장비에 대한 안전점검, 현장점검 등 아무런 대책 없이 가동하는 것에 대해 문제제기를 하고 사고 관련 목격자 등의 심리상담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경찰조사와 회사와의 면담을 진행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는 것에 항의하였습니다.
또한 지회는 원하청 노사 합동점검을 긴급히 요청 하여 14일 오전 08시30분부터 4공장 전체의 합동점검을 실시하였고 현장의 전반적인 문제점들을 다시 한번 확인했습니다. 11시 부터는 노동부, 안전보건관리공단과 함께 현장 조사를 실시 하였습니다. 이에 근로감독관은 조치가 미흡하다는 내용을 지회에 구두로 전달 하였습니다. 그리고 개선 사항을 안전관리공단과 재차 검토후 다시 방문하여 개선 사항을 확인하기로 하였습니다.
1월 25일 기자회견 개최 후 노동부에 특별안전점검 요구 방문을 하였습니다. 이 후 1월 27일에 노동부 지청장 및 감독관 면담을 진행하였습니다. 이에 발생 된 사고에 대하여 특별근로감독에 준하게 근로감독을 실시 하는 것으로 확정하였습니다.
단조, 가공, 조립 3구역으로 나누어 팀을 구성하고 현장을 기반으로 전체적 위반/시정명령/권고사항 및 위험 요소들을 파악하고 교차점검을 실시 하기로 하였습니다. 참여 인원은 노동부 4명, 안전보건공단 3명, 지회 노동안전보건부장 3명, 위아지회 노동안전보건부장 1명으로 구성되었습니다.
2일차 지회 노동안전보건부와 노동부/공단 인원과 점검을 시행해본 결과 참담한 심정이었습니다. 특히 단조 공정 전체는 면밀히 확인하면 할수록 점검 인원 전부 “이게 사람이 일하는 곳인가...”라며 말끝이 흐려지고 탄식이 흘러나왔습니다.
기본적인 작업지시서 관련 내용은 허술하기 짝이 없었고, 사측의 현장관리는 매우 부실했으며, 눈에 띄지 않는 밀폐공간 지하 작업공간은 참담한 수준이었습니다. 당장 사고가 나더라도 이상하지 않았습니다.  노동부에서는 조치 사항으로 ▲관리감독소홀 ▲안전보건 경영 체재에 대한 관리 및 안전진단 명령을 내렸습니다. 결과, 과태료14건, 규칙위반 43건을 적발하였습니다.

이것은 비단 4공장의 문제만은 아닐 것입니다. 1공장에서는 주 1회 안전 관련하여 현장 순회를 진행하기로 하였습니다.
안전에 관해서는 지나칠 만큼 과감하게 접근하고 조치를 취하는 것이 사전에 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일 것입니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14
2025.06.02 0 814
93
[활동 글] [132호]노가다가 아닌 노동자로 삽니다- 건설노동자들이 말하는 노동, 삶, 투쟁기록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11
2025.06.02 0 111
92
[활동 글] [132호]석탄화력발전소 폐쇄로 인한 현장의 고용불안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08
2025.06.02 0 108
91
[활동 글] [131호]산재승인까지 8개월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7
2025.02.06 0 477
90
[활동 글] [131호]세상 모든 노동자들의 이유있는 밤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0
2025.02.06 0 470
89
[활동 글] [131호]노동자들을 죽음으로 내모는 한화오션과 그 죽음을 방관하는 통영지청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477
2025.02.06 0 477
88
[활동 글] [130호]노동력이 아니라 사람이 왔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70
2024.10.15 0 670
87
[활동 글] [130호]여름철 조선소 뜨거운 현장, 이곳이 바로 고온 현장이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830
2024.10.15 0 830
86
[활동 글] [129호]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첫 후원문화제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83
2024.07.05 0 1383
85
[활동 글] [129호]산추련 실천학교를 통해 배우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14
2024.07.05 0 1314
84
[활동 글] [129호]<조선소, 이 사나운 곳에서도> 창원북 토크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33
2024.07.05 0 1333
83
[활동 글] [128호]조선소 이 사나운곳에서도
mklabor | 2024.04.11 | 추천 0 | 조회 1599
2024.04.11 0 1599
82
[활동 글] [128호]죽음의 조선소, 얼마나 많은 노동자가 죽어야 하는가
mklabor | 2024.04.11 | 추천 0 | 조회 1655
2024.04.11 0 1655
81
[활동 글] [127호]현대그룹에 불어닥친 ‘자회사 꼼수’ 바람..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690
2024.01.18 0 1690
80
[활동 글] [127호]한화라는 거대한 자본과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계속해서 싸울 것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660
2024.01.18 0 1660
79
[활동 글] [126호]국적이 다르다고 인간의 존엄까지 다를 수 없다 미얀마 이주노동자 피예이타옌의 명복을 빌며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2226
2023.10.21 0 2226
78
[활동 글] [126호]중대재해 없으면 처벌도 없다. 노동자의 생명을 보호하라.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936
2023.10.21 0 1936
77
[활동 글] [126호]안된다고 정해놓은 산업재해...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21
2023.10.21 0 1821
76
[활동 글] [125호]밥통이 만들어내는 또 다른 연대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73
2023.07.21 0 2173
75
[활동 글] [125호]이주노동자는 쓰다가 버리는 일회용품이 아니다! 고용허가제 폐지하고 사업장 이동의 자유를 보장하라!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3002
2023.07.21 0 3002
74
[활동 글] [125호]이주노동자와 정주노동자가 함께 투쟁하는 조선소를 꿈꾼다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92
2023.07.21 0 2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