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8호]발뒤꿈치 통증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9-04-11 17:33
조회
5068
게시글 썸네일

한의사 : 건형


걷거나 서 있을 때, 또는 아침 일어나서 첫 발을 딛을 때 발뒤꿈치가 욱신하고 아픈 경우가 있다. 흔한 원인은 족저근막의 염증이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에서 앞 발바닥까지 붙어서 발바닥을 감싸고 있는 단단한 근막을 말한다. 스프링처럼 발바닥 충격을 흡수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많이 걷고 뛰거나 오래 서 있는 등 반복적인 무리가 가해지면 염증이 생겨 아프다.

뚜렷한 원인은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여러 요인이 연관될 수 있다. 발바닥의 오목한 모양을 유지하지 못하게끔 변형이 오거나, 몸무게가 늘어서 발로 가는 체중 부담이 늘거나, 무거운 물건을 반복해서 들거나 옮기는 등 다양한 요인이 발뒤꿈치 근막 부착부에 염증이나 퇴행성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다음과 같은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 안쪽 발뒤꿈치 부위를 눌렀을 때 통증이 느껴진다.
- 쉬거나 자고 일어난 후 첫 발을 디뎠을 때 발뒤꿈치가 아프다.
- 무거운 물건을 계속 들거나 나르고 난 후 발뒤꿈치가 아프다.
- 최근 달리기나 오래 서 있기, 오래 걷기 등 발에 무리가 갔을 때 발뒤꿈치가 아프다.

발뒤꿈치에 무리가 가는 동작이나 작업을 피하고, 휴식을 충분히 취하면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회복되고 통증도 사라질 수 있다. 하지만, 노동 환경이나 조건을 바꾸지 못하고 계속 무리가 될 만한 작업과 생활을 한다면, 몇 개월까지도 증상이 지속될 수 있어 불편함이 클 수도 있다.

한/양방 의료 기관에서는 발뒤꿈치 충격파 치료, 스테로이드 주사, 진통 약물 치료, 침 치료 등을 처방할 수 있으나 각 치료가 회복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확신할 수 없는 수준이고 각 치료법마다 부작용이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의료진의 치료에만 맡기지 말고 스스로 생활 관리를 병행해야 한다.
스스로 할 수 있는 간단한 운동법은 다음과 같다. 지나치게 격렬하게 하거나 횟수를 많이 하면 오히려 다칠 수 있으므로 주의한다.

<종아리 스트레칭>

방법: 바닥에 편안하게 앉은 상태에서 두 발을 편다. 긴 수건을 이용해서 발바닥을 감싼 뒤, 양 수건을 몸 쪽으로 당기는 동시에 발바닥을 바닥 쪽으로 젖혀 수건의 당김 동작에 저항한다. 한 번 할 때 10초에서 30초 정도 통증이 나타나지 않는 수준에서 동작을 유지한다. 이런 운동 5번을 한 세트로 해서 하루 2세트씩 한다. 이는 종아리와 발바닥 근육을 튼튼하게 하는 운동이다.



<발목 돌리기 운동>
의자 (편평한 받침대도 괜찮음) 에 종아리를 편하게 올려놓되 발목 아래로는 순조롭게 돌리기 운동을 할 수 있도록 한다. 발바닥이 바닥을 향하게 발목을 젖힌 뒤, 안쪽에서 바깥쪽, 바깥쪽에서 안쪽으로 자유롭게 발목을 돌린다.



<발가락으로 수건 집기 운동>
방바닥에 수건을 펼쳐 놓은 뒤, 발가락을 오므려 수건을 집는다. 이런 동작을 1-2 분 동안 반복한다. 이를 하루 2 세트씩 한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676
2025.06.02 0 676
340
[활동 글] [127호]한화라는 거대한 자본과 노동자의 권익을 위해 계속해서 싸울 것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652
2024.01.18 0 1652
339
[여는 생각] [127호]50인(억) 미만 사업장 중대재해처벌법 전면 적용하라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3848
2024.01.18 0 3848
338
[현장 보고] [126호]대흥알앤티 화학물질 사고 이후 현장 변화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5679
2023.10.21 0 5679
337
[건강하게 삽시다] [126호]족저근막염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4537
2023.10.21 0 4537
336
[산재 판례] [126호]업무시간은 업무상 과로의 여러 고려요소 중 하나입니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19
2023.10.21 0 1819
335
[만나고 싶었습니다] [126호]노동조합은 든든한 우산이 되고, 흔들리지 않는 기둥이 된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51
2023.10.21 0 1851
334
[상담실] [126호]조금 더 친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44
2023.10.21 0 1844
333
[일터에서 온 편지] [126호]노동자를 위한 최소한의 규정 노동법 노동현장에서 반드시 지켜져야한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795
2023.10.21 0 1795
332
[초점] [126호]바다가 위험하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2740
2023.10.21 0 2740
331
[현장을 찾아서] [126호]수많은 위기들을 헤쳐 온 모트롤! 또 다시 유래없는 위기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36
2023.10.21 0 1836
330
[활동 글] [126호]국적이 다르다고 인간의 존엄까지 다를 수 없다 미얀마 이주노동자 피예이타옌의 명복을 빌며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2214
2023.10.21 0 2214
329
[활동 글] [126호]중대재해 없으면 처벌도 없다. 노동자의 생명을 보호하라.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918
2023.10.21 0 1918
328
[활동 글] [126호]안된다고 정해놓은 산업재해...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03
2023.10.21 0 1803
327
[여는 생각] [126호]지자체 발주공사 중대 재해에 대한 책임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8746
2023.10.21 0 8746
326
[현장 보고] [125호]현장보고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6761
2023.07.21 0 6761
325
[건강하게 삽시다] [125호]어깨 통증 - 회전근개 손상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91
2023.07.21 0 2191
324
[산재 판례] [125호]조선소 노동자 허리 디스크, 업무상 재해 인정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3403
2023.07.21 0 3403
323
[만나고 싶었습니다] [125호]‘약한자의 힘’으로 「한 걸음 더 다가가기」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261
2023.07.21 0 2261
322
[상담실] [125호]스스로 만든 지침도 안 지키는 근로복지공단?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199
2023.07.21 0 2199
321
[일터에서 온 편지] [125호]한국지엠 자본의 꼼수에 대항해 우리의 요구와 권리를 쟁취!!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3389
2023.07.21 0 33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