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호]작업환경측정 보고서

[여는 생각]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8-06-20 13:12
조회
3610
게시글 썸네일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공개할 것이냐 말 것이냐에 대한 논쟁이 우리 사회를 휩쓸고 있다. 노동부의 삼성전자 작업환경측정 결과 공개 입장에 대해 삼성전자는 ‘국가 핵심 기술 유출’이라고 주장하며 공개 불가론을 펼쳤다. 급기야 이 논쟁은 노동부와 산자부로 옮겨갔다.
이 사건의 처음 쟁점은 직업병을 입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작업환경측정 결과가 공개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지금까지 삼성 전자에서 작업을 하다 백혈병 등의 직업병에 걸린 노동자들은 삼성의 비협조로 인해 자신이 사용한 물질을 증명하기 어려웠다. 결국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가지고 있는 국가 기관인 노동부에 공개를 요청했으나 거절당했고 법원 판단을 통해 결과를 받을 수 있었던 것이다. 이에 노동부는 작업환경측정 결과 공개 범위 확대 입장을 밝혔고 이에 삼성 전자는 ‘국가 핵심 기술 유출’이라는 논리로 대응했던 것이다.
피해 노동자와 노동부에서, 노동부와 삼성전자로 그리고 노동부와 산자부의 대립으로 옮겨갔다. 결국 노동부 뒤에 숨어 있던 삼성 전자가 더 이상 노동부의 보호를 받지 못하자 ‘국가 핵심 기술’이라는 프레임을 내세워 산자부 뒤에 숨어 버린 것이다.
그런데 조금만 생각해 보면 삼성의 ‘국가 핵심 기술 유출’이란 것은 논리 자체가 빈약하며 의도적 프레임이란 것을 알 수 있다. 즉, 노동부나 노동자들은 반도체 제조 기술을 유출을 하겠다는 것이 아니라 알권리와 노동자의 생명권을 보호할 수 있는 방법과 피해 노동자들의 권리 구제라는 입장이다. 또한 작업환경측정결과 내용이 기술 유출이 될 수 있으려면 상당한 근거가 있어야 하지만 산자부 전문가 몇 명이 모여서 논의한 것 빼고는 없다. 사실 작업환경측정 보고서를 보면 특정 기술을 알 수 있을 만큼 상세하지 않다. 작업환경측정은 매년 이루어지고 있다. 삼성 논리대로라면 작업환경측정팀만 포섭하면 핵심 기술을 빼낼 수 있다는 말이 된다. 왜냐하면 반도체 공장에서 작업환경측정을 실시한 사람이면 공정을 확인할 것이며 또한 물질을 포집 분석하기 때문이다. 삼성의 주장이 맞는다면 이것이 더 심각하다.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을 포함하여 주요 산업은 대부분 작업환경측정을 하며 그에 투입된 인원 역시 다수 일 것이다. 아직까지 그 인원이 포섭되었다는 말은 들어 본적도 없다. 오히려 산업 핵심 기술을 연구 개발에 참여했던 일부 인원들이 포섭되었다는 이야기는 들어 봤어도.. 작업환경 측정 인원을 포섭하는 것이 오히려 개발하는 것 보다 빠르다면 왜 그렇게 하지 않았을까.
산자부를 동원한 삼성의 판정승은 우리 사회가 여전히 삼성 공화국이라는 것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삼성을 건들지 말라는 암묵적 경고다. 삼성은 전략적으로 국가 핵심 기술 유출이라는 프레임(허수아비)를 만들어냈고 일부 언론과 산자부와 기술위원회는 동참했다. 삼성은 실제로 존재하는지, 하지 않는지 확인도 되지 않는 허수아비를 내세웠고 진정한 쟁점은 사라지게 만들었다. 자신들의 지난날의 과오를 핵심 기술 유출이라는 것으로 덮어버린 것이다. 그리고 작업환경측정 결과를 공개하라고 요구하는 사람들은 졸지에 매국노를 만들어 버렸다.
쟁점을 다시 세워야 한다. 노동환경에 대한 노동자들의 접근권을 어떻게 강화할 것인지, 안전보건에 관한 권리의 주체로서 노동자 위상 강화와 직업병에 걸린 노동자가 스스로 업무관련성을 입증을 하지 않더라도 인정을 받을 수 있는 것으로 가야 한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610
2025.06.02 0 610
280
[활동 글] [122호]화학물질 중대 재해 발생 이후 무책임한 사측! 안일한 태도의 노동부와 검찰!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609
2022.11.04 0 2609
279
[활동 글] [122호]복지 전문 회사 웰리브? 붉은 고무 장갑. 파란 앞치마의 투쟁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863
2022.11.04 0 2863
278
[여는 생각] [122호]아직 살아 있는 우리는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3106
2022.11.04 0 3106
277
[현장 보고] [121호]마창대교 요금소 노동자 사고경험과 불안실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996
2022.07.27 0 2996
276
[건강하게 삽시다] [121호]온열질환과 노동자 건강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4137
2022.07.27 0 4137
275
[산재 판례] [121호]출퇴근 재해 ‘출근 경로의 일탈·중단’ 엄격하게 판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073
2022.07.27 0 3073
274
[만나고 싶었습니다] [121호]노후설비 안전관리 특별법 제정투쟁에 나선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부산경남지부 윤위준 노안보위원장을 만나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679
2022.07.27 0 2679
273
[121호]장해등급 결정 기준의 공정성과 현실성에 대하여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1007
2022.07.27 0 1007
272
[일터에서 온 편지] [121호]거제지역 최저임금 적용 실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35
2022.07.27 0 2535
271
[초점] [121호]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자본의 자유확대와 노동규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35
2022.07.27 0 2535
270
[현장을 찾아서] [121호]한국지엠 불법파견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31
2022.07.27 0 2531
269
[활동 글] [121호]노동자의 죽음이 계속해서 반복될 수밖에 없는 실상을 고발한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653
2022.07.27 0 3653
268
[활동 글] [121호]차별금지법 제정, 지금 당장도 늦다! 국회는 차별금지법 즉각 제정하라!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95
2022.07.27 0 2495
267
[활동 글] [121호]노동 환경 개선단에 참여하며 퍼스텍 지회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75
2022.07.27 0 2475
266
[활동 글] [121호]아프지 않고, 다치지 않고 출근 했던 그대로 퇴근 하는 게 우리의 작은 바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72
2022.07.27 0 2472
265
[여는 생각] [121호]기로에 선 중대재해처벌법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4096
2022.07.27 0 4096
264
[현장 보고] [120호] 조직팀 현장보고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19
2022.04.21 0 2819
263
[건강하게 삽시다] [120호]코로나 감염 후 증상 관리에 도움되는 건강보험 한약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713
2022.04.21 0 2713
262
[산재 판례] [120호]감시단속 근로자인 학교 야간 경비원 뇌경색 사망 산재 인정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16
2022.04.21 0 2816
261
[만나고 싶었습니다] [120호] 건설노조 경남건설기계지부 동지들을 만나다.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707
2022.04.21 0 27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