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5호]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8-06-20 13:38
조회
4457
게시글 썸네일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심각한 외상을 보거나 직접 겪은 후에 나타나는 불안 장애를 뜻합니다. [1] 전쟁, 사고, 자연 재해, 폭력 등 심각한 신체적, 정신적 손상이나 생명을 위협당하는 환경에 던져질 경우, 그 때의 경험에 대해 공포심과 아무에게도 도움을 받을 수 없다는 무력감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반복적으로 사건이 회상되어 환자는 다시 기억나는 것을 회피하려고 애를 쓰게 됩니다. [1]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1,2차 세계 대전과 나치의 유태인 대학살, 베트남 전쟁의 생존자들이 겪었던 불안, 우울, 신체 증상들에 대한 관찰과 연구에서 이름 붙이게 된 질환입니다. [2] 그러나 쌍용자동차 해고 노동자, 세월호 유가족, 사람들과 동료들의 죽음을 늘상 겪는 소방관 등 보통 사람으로서는 감당하기 어려운 충격적 외상을 당한 사람들 역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게 됩니다. [2] 현장에서 중대한 신체적 노동 재해를 당하거나 이를 목격한 노동자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를 겪을 수 있습니다. [3] 업무와 관련하여 정신적 충격을 받을 수 있는 사건 경험으로 발생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예를 들어 작업 중 발생한 폭력/폭언에 의한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역시 산재보험법 (산재보험법 시행령 제 34조 3항 [별표 3]) 상 산재로 인정받을 수 있음을 보면, 노동자의 정신적 외상도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과 연관되어 있음을 알 수 있습니다.[4]
만약 신체적/정신적 충격을 경험하고 불안, 무력감, 충격적인 기억이 반복해서 나타나는 등의 증상이 있다면 혼자 고민하지 말고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 및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를 방문하여 상담해야 합니다. 약물 치료 및 적절한 상담과 스스로 관리 요법을 병행한다면 증상을 효과적으로 조절할 수 있고, 혼자 괴로워하다 위태한 상황을 홀로 맞는 상황을 예방할 수 있습니다.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는 단순한 개인의 부적응이나 예민함 때문이 아니며, 노동 조건의 구조적 왜곡과 사회적 환경을 핵심적 ‘외상’ 요인으로 빼놓지 말고 고려해야 합니다 [1]. 따라서 의학적 치료 외에도 일터 작업환경이 노동자를 해치지 않도록 변화시키는 것 또한 노동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발생을 예방하는 중요한 활동일 것입니다.

1.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서울아산병원 질환 백과.
(https://goo.gl/g4JuE4) (2018년 5월 10일 접속)
2. 김승섭. PTSD, ‘설명없는 치료’의 딜레마에 빠지진 않았나요? 한겨레 사이언스 온.
2015.09.03 (https://goo.gl/hu4sfu) (2018년 5월 10일 접속)
3. 류현철. 중대재해를 경험한 노동자들의 트라우마. 매일노동뉴스 2017.05.11.
4. 김인아 외. 감정노동으로 인한 업무상 질병인정범위 및 기준에 대한 연구.
고용노동부 정책연구용역사업 보고서
(발간등록번호 11-1492000-000349-01). 2015년 8월.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628
2025.06.02 0 628
280
[활동 글] [122호]화학물질 중대 재해 발생 이후 무책임한 사측! 안일한 태도의 노동부와 검찰!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615
2022.11.04 0 2615
279
[활동 글] [122호]복지 전문 회사 웰리브? 붉은 고무 장갑. 파란 앞치마의 투쟁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873
2022.11.04 0 2873
278
[여는 생각] [122호]아직 살아 있는 우리는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3116
2022.11.04 0 3116
277
[현장 보고] [121호]마창대교 요금소 노동자 사고경험과 불안실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003
2022.07.27 0 3003
276
[건강하게 삽시다] [121호]온열질환과 노동자 건강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4145
2022.07.27 0 4145
275
[산재 판례] [121호]출퇴근 재해 ‘출근 경로의 일탈·중단’ 엄격하게 판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082
2022.07.27 0 3082
274
[만나고 싶었습니다] [121호]노후설비 안전관리 특별법 제정투쟁에 나선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부산경남지부 윤위준 노안보위원장을 만나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686
2022.07.27 0 2686
273
[121호]장해등급 결정 기준의 공정성과 현실성에 대하여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1008
2022.07.27 0 1008
272
[일터에서 온 편지] [121호]거제지역 최저임금 적용 실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41
2022.07.27 0 2541
271
[초점] [121호]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자본의 자유확대와 노동규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41
2022.07.27 0 2541
270
[현장을 찾아서] [121호]한국지엠 불법파견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38
2022.07.27 0 2538
269
[활동 글] [121호]노동자의 죽음이 계속해서 반복될 수밖에 없는 실상을 고발한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661
2022.07.27 0 3661
268
[활동 글] [121호]차별금지법 제정, 지금 당장도 늦다! 국회는 차별금지법 즉각 제정하라!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02
2022.07.27 0 2502
267
[활동 글] [121호]노동 환경 개선단에 참여하며 퍼스텍 지회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81
2022.07.27 0 2481
266
[활동 글] [121호]아프지 않고, 다치지 않고 출근 했던 그대로 퇴근 하는 게 우리의 작은 바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78
2022.07.27 0 2478
265
[여는 생각] [121호]기로에 선 중대재해처벌법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4100
2022.07.27 0 4100
264
[현장 보고] [120호] 조직팀 현장보고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29
2022.04.21 0 2829
263
[건강하게 삽시다] [120호]코로나 감염 후 증상 관리에 도움되는 건강보험 한약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722
2022.04.21 0 2722
262
[산재 판례] [120호]감시단속 근로자인 학교 야간 경비원 뇌경색 사망 산재 인정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22
2022.04.21 0 2822
261
[만나고 싶었습니다] [120호] 건설노조 경남건설기계지부 동지들을 만나다.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711
2022.04.21 0 27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