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28호]가짜 뉴스로 시작된 고용노동부 특정 감사와 산재보험 60주년

[여는 생각]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24-04-11 16:39
조회
6459
게시글 썸네일

김병훈 민주노총경남지역본부 노안국장


2024년 2월 20일 고용노동부는 근로복지공단 특정 감사 결과를 발표하였다. 특정 감사의 원인이었던 3명의 부정 수급 사례는 사실이 아닌 것으로 결론을 지었다. 즉, 가짜 뉴스를 근거로 고용노동부가 기관 감사에 나섰던것이다. 그런데 특정 감사 결과에서 지적하고 있는 부정 수급이 과연 만연하고 조직적으로 이루어지는지에 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근로복지공단 최초요양 승인 자료와 특정감사에서 밝힌 부정수급 적발 건수 자료를 확보해서 비교한 결과 최초요양을 기준으로 부정수급 비율은 0.02%~0.05%라는 것이다. 이는 바꿔 말하면 99.998%는 문제가 없다는 것이다. 고용노동부는 0.02%의 문제를 가지고 산재 카르텔을 운운하며, 산재노동자를 범죄자 취급한 것이다.
표 . 근로복지공단 자료와 고용노동부 특정 감사 결과 재구성.(최초 요양 기준)

또한, 6개월 이상 장기 요양 환자가 2021년 이후부터 증가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2017년부터 확장해서 보면 오히려 6개월 이상 요양 환자가 줄어든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021년부터의 증가폭도 2017년에 못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더구나 치료 종결을 위한 자문의사회의의 강제 치료 종결률은 85%에 이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주치의사와 자문의사가 소견이 다른 경우 자문의사회의를 개최하고 있지만, 결국 형식적으로 운영되어 주치의사의 소견을 무력화 시키는 절차로 변질되어 온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특정 감사에서는 업무상 처리 기간이 늘어난 문제점과 간병비 지급 기준 금액 동결로 인해 적절한 간병을 받기 어려운 현실도 확인되었지만 이에 대해서는 제대로 된 언급조차 없었다.

결국, 자신들의 제도적인 문제는 짧게 언급하고, 산재카르텔의 부정적인 면만 부각시킨 것이다. 이번 고용노동부 특정감사는 보수 언론의 의도된 가짜 뉴스를 근거로 시작되었다. 특정감사는 대한민국 국회가 대한민국 정부가 가짜 뉴스를 제대로 검증하지도 않고 2개월 동안 역대 인원(15명)으로 구성하여 감사를 벌인 흑역사로 기록될 것이다.

올해는 산재보험 60주년을 맞는 해다. 산재 보험 운영이 제대로 되지 못해 수 많은 산재노동자들이 피해를 받고 있는 현실이다. 고용노동부가 2개월간 역대 최대 15명의 감사 인력으로 밝힌 부정수급 사례 보다 오히려 산재 불승인과 제대로 치료받지 못하는 노동자들의 문제가 더욱 심각한 문제다. 따라서, 산재보험 60주년을 맞아 산재보험 전반에 대한 문제를 드러내고 산재보험 전면 개혁 투쟁에 나서야 할 것이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43
2025.06.02 0 843
34
[산재 판례] [132호]만 18세 현장실습생 업무상 스트레스에 따른 투신자살 업무상재해 인정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19
2025.06.02 0 119
33
[산재 판례] [131호]경비원 실명, 과로 원인 배제할 수 없음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502
2025.02.06 0 502
32
[산재 판례] [130호]택시노동자 사측의 부당 행위에 장기간 투쟁퇴근길 무면허에 과속 운전했지만 대중교통 이용이 어려운 사정, 사고발생 경위 등 고려해서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590
2024.10.15 0 1590
31
[산재 판례] [129호]택시노동자 사측의 부당 행위에 장기간 투쟁하다 분신 사망,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89
2024.07.05 0 1289
30
[산재 판례] [128호]산재 카르텔을 보다, 사업주의 산재 취소소송, 산재소송 보조 참여.
mklabor | 2024.04.11 | 추천 0 | 조회 1545
2024.04.11 0 1545
29
[산재 판례] [127호]사내 동호회 활동, 사외 행사 참여는 산재일까요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732
2024.01.18 0 1732
28
[산재 판례] [126호]업무시간은 업무상 과로의 여러 고려요소 중 하나입니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38
2023.10.21 0 1838
27
[산재 판례] [125호]조선소 노동자 허리 디스크, 업무상 재해 인정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3448
2023.07.21 0 3448
26
[산재 판례] [124호]여성 조기 폐경, 남성과 동등한 장해등급으로 인정
mklabor | 2023.05.15 | 추천 0 | 조회 2421
2023.05.15 0 2421
25
[산재 판례] [123호]회식 음주 후 해수욕장에서 다이빙 사고, 업무상재해 인정
mklabor | 2023.03.09 | 추천 0 | 조회 2419
2023.03.09 0 2419
24
[산재 판례] [122호]대법원, 업무수행 중 교통사고 범죄행위 시 업무상재해 판단기준 제시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3074
2022.11.04 0 3074
23
[산재 판례] [121호]출퇴근 재해 ‘출근 경로의 일탈·중단’ 엄격하게 판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101
2022.07.27 0 3101
22
[산재 판례] [120호]감시단속 근로자인 학교 야간 경비원 뇌경색 사망 산재 인정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48
2022.04.21 0 2848
21
[산재 판례] [119호]업무상재해로 인한 우울증 발생 후, 자살에 이른 경우 정신장애 상태의 결과로 업무상재해 인정
mklabor | 2022.01.22 | 추천 0 | 조회 2717
2022.01.22 0 2717
20
[산재 판례] [118호]노조전임자로 활동중 사망한 노조위원장 업무상재해
mklabor | 2021.10.11 | 추천 0 | 조회 3071
2021.10.11 0 3071
19
[산재 판례] [117호]회식후 무단횡단하다가 차량 사고로 인한 사망
mklabor | 2021.07.08 | 추천 0 | 조회 4263
2021.07.08 0 4263
18
[산재 판례] [116호]과실이 일부 있었더라도 교통사고로 인한 재해 업무상재해
mklabor | 2021.04.02 | 추천 0 | 조회 3554
2021.04.02 0 3554
17
[산재 판례] [115호]중앙선침범이 사고의 원인이 되었더라도 업무상재해에 해당한다
mklabor | 2021.01.12 | 추천 0 | 조회 4887
2021.01.12 0 4887
16
[산재 판례] [114호]태아의 건강 손상도 업무상 재해에 해당, 산재보험법상 요양급여 수급권 인정
mklabor | 2020.08.27 | 추천 0 | 조회 3895
2020.08.27 0 3895
15
[산재 판례] [113호]출퇴근재해 소급적용에 대한 판례
mklabor | 2020.05.22 | 추천 0 | 조회 5192
2020.05.22 0 519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