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4호]태아의 건강 손상도 업무상 재해에 해당, 산재보험법상 요양급여 수급권 인정

[산재 판례]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20-08-27 13:44
조회
3893
게시글 썸네일

                                                    김민옥 //노무사 금속법률원 경남사무소


2009년 제주의료원에서 근무하던 중 임신한 간호사들은 유산하거나 2010년 선천성 심질환을 갖고 있는 아이를 출산했다. 간호사들은 알약을 삼킬 수 없는 중증고령 환자들을 위해서 알약을 가루로 만드는 작업을 했는데, 해당 약에 태아를 기형으로 만들 수 있는 독성물질이 있었다.
근로복지공단과 원심은 업무에 기인하여 태아에게 병이 생긴 사실을 인정하면서도 “요양급여는 업무상 재해를 당한 근로자에게 지급한다”는 법 조항에 따라 유산한 간호사들만을 산업재해로 인정하고, 질환을 갖고 태어난 태아에 대한 산재보상은 불가능하다고 판단했다.

그러나, 대법원은 “임신한 여성 근로자의 업무에 기인하여 태아에게 선천성 심장질환이 생겼다면, 이는 산재보험법의 업무상재해에 해당하고 태아가 모체에서 분리되어 독립된 인격을 가진 출산아가 되더라도 근로자의 업무상재해에 대한 요양급여 수급권은 상실하지 않는다.”고 판단했다.

대법원은 위와 같은 판단 근거로 △ 헌법상 국가의 사회보장, 재해예방, 위험보호의무(제34조 제2항, 제6항), △ 업무상 재해 근로자에게 신속 공정하게 보상하고 재해 근로자의 자활 및 복귀 촉진 등 산재보험법의 목적(제1조), △ 산재보험수급권은 재해 근로자와 그 가족에 대한 생존권 보장을 목적으로 하고, 이는 헌법상 생존권적 기본권의 보장이라며 산재보헙법의 기본이념과 입법목적, 취지를 설명했다. 또한 산재보험제도가 △ 작업장의 위험을 사회 전체가 분담하려는 공적보험제도라는 점, △ 열악한 작업환경을 개선하도록 유인하는 작용이 있는 점, △ 근로자에게 최소한의 사회적 안전망을 제공해서 사회 전체의 갈등과 비용을 줄이려는 한다는 점. △ 궁극적으로 안전에 대한 국가의 보상책임을 지우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개별 노동자나 사업주가 예측 및 예방할 수 없는 재해에 대해 최종적으로 국가가 책임지도록 하는 산재보험의 제정 목적에 충실한 해석이다.

대법원은 위와 같은 산재보험제도의 의의를 바탕으로 임신한 여성 노동자의 업무에 기인하여 발생한 태아의 건강 손상이 업무상재해라는 구체적 법률 조항(산재보험법 제5조 제1호)에 해당하는지를 해석할 때는 헌법에 합치되는 해석을 해야 한다고 보았다.
따라서 대법원은 △ 헌법에서 여성의 근로와 모성 보호를 규정하면서(제32조 제4항, 제35조 제2항) 국가가 여성 근로자의 신체적, 생리적 특수성을 고려한 보호와 임신과 출산 과정에서 업무상 유해 요소로부터 충분히 보호할 책무가 있는 점과 △ 산재보헙법에서 근로자가 퇴직 등으로 근로자 지위를 상실해도 보험급여 수급 관계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점에 비춰 태아가 모체에서 분리되더라도 임신 중에 성립한 요양급여 청구권은 여성 노동자에게 그대로 존속한다고 판단했다.

이번 판결은 태아의 요양수급권을 최초로 인정했다는 점뿐 아니라 국가가 헌법에 따라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한 일터를 책임져야 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 방법이 산재보험제도로, 재해노동자가 생존권적 기본권을 충분히 보장받아야 함을 다시한번 알린 점에도 큰 의미가 있다고 본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38
2025.06.02 0 838
380
[일터에서 온 편지] [130호]열정과 패기로 지역의 동지들과 함께 새로운 노동조합을!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1148
2024.10.15 0 1148
379
[초점] [130호]2024년 국정감사 산재보험 관련 대응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77
2024.10.15 0 677
378
[현장을 찾아서] [130호]작은 사업장의 민낯 드러낸 아리셀 중대재해 참사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73
2024.10.15 0 673
377
[활동 글] [130호]노동력이 아니라 사람이 왔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70
2024.10.15 0 670
376
[활동 글] [130호]여름철 조선소 뜨거운 현장, 이곳이 바로 고온 현장이다.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831
2024.10.15 0 831
375
[여는 생각] [130호]폭염 대책 작업 시간을 제한해야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3786
2024.10.15 0 3786
374
[현장 보고] [129호]현장보고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984
2024.07.05 0 1984
373
[건강하게 삽시다] [129호] 손발저림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34
2024.07.05 0 1334
372
[산재 판례] [129호]택시노동자 사측의 부당 행위에 장기간 투쟁하다 분신 사망, 산업재해 인정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288
2024.07.05 0 1288
371
[영화로세상일기] [129호] 피해자 각본을 깨고 더 나은 것과 연결되는 삶:정순 (감독 정지혜, 2024)
mklabor | 2024.07.05 | 추천 3 | 조회 678
2024.07.05 3 678
370
[만나고 싶었습니다] [129호]하나뿐인 지구에서 다 함께 살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46
2024.07.05 0 1346
369
[인권이야기] [129호] 전쟁같은 투쟁이 아닌 운동으로서의 투쟁 -밀양 행정대집행 10주기를 기억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907
2024.07.05 0 907
368
[상담실] [129호]출퇴근재해로 산재 신청하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29
2024.07.05 0 1329
367
[일터에서 온 편지] [129호]산업안전보건위원회 참여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20
2024.07.05 0 1320
366
[초점] [129호]의대증원 문제, 핵심은 숫자가 아니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08
2024.07.05 0 1308
365
[현장을 찾아서] [129호]한화자본의 노조파괴의 시작! 웰리브 식당 분할 당장 멈춰라!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414
2024.07.05 0 1414
364
[활동 글] [129호]거제통영고성 조선하청지회 첫 후원문화제를 준비하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96
2024.07.05 0 1396
363
[활동 글] [129호]산추련 실천학교를 통해 배우다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31
2024.07.05 0 1331
362
[활동 글] [129호]<조선소, 이 사나운 곳에서도> 창원북 토크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50
2024.07.05 0 1350
361
[여는 생각] [129호]실패한 조선업 중대재해 대책을 반복적으로 내 놓은 고용노동부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3838
2024.07.05 0 38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