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3호]출퇴근재해 소급적용에 대한 판례

[산재 판례]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20-05-22 18:20
조회
5193
게시글 썸네일
2018. 1. 1. 이후 발생한 출퇴근 사고만을 업무상 재해로 인정한
산업재해보상보험법 부칙이 헌법불합치 결정을 받았다(2018헌바218)


                                       허혜영 변호사 // 법무법인 믿음


헌법재판소는 2016. 9. 29. 2014헌바254 결정으로, 구 산재보험법 조항에 대하여 '통상의 출퇴근 재해를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아니한 것은 헌법에 합치되지 않는다'는 취지의 헌법불합치결정을 하였다. 이로써 2017. 10. 24. 산재보험법이 개정되어, 사업주가 제공하는 교통수단을 이용하지 않고, 도보나 대중교통수단, 자기 소유 교통수단을 이용하여 출퇴근 하던 중 사고를 당하였더라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개정 산재보험법은 부칙에서 '이 법은 2018. 1. 1.부터 시행한다'(제1조), '제37조의 개정규정은 이 법 시행 후 최초로 발생하는 재해부터 적용한다'(제2조)고 정하여, 2018. 1. 1. 이전에 통상의 방법으로 출퇴근하던 중 발생한 사고의 경우에는 여전히 업무상 재해로 인정하지 않는다는 근로복지공단의 처분이 잇달았다.

그런데 헌법재판소가 2019. 9. 26. 위 산재보험법 부칙 제2조에 대하여 헌법불합치 결정을 함으로써, 개정 산재보험법 시행일(2018. 1. 1.) 이전에 발생한 출퇴근 사고의 경우에도 업무상 재해로 인정받을 수 있는 길이 열리게 된 것이다.

헌법재판소는 이번 결정에서 ‘통상의 출퇴근 사고가 개선입법 시행일 이후에 발생하였는지 여부에 따라 보험급여 지급 여부를 달리하는 것은 합리적 이유 없는 차별취급이고, 선행 헌법불합치 결정의 취지에도 어긋나 헌법상 평등원칙에 위반된다’고 하면서, 2020. 12. 31. 까지 개선입법이 이루어지기 전까지는, 적어도 선행 헌법불합치 결정일인 2016. 9. 29. 이후에 통상의 출퇴근 사고를 당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신법 조항을 소급적용하도록 하여야 한다는 취지로 판단하였다.

이와 같은 헌법재판소의 결정 이후, 서울행정법원은 개정 산재보험법 시행 전인 지난 2017. 11. 29. 발생한 출퇴근 사고에 대하여 근로복지공단이 구 산재보험법을 적용하여 업무상 재해에 해당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결정한 유족급여부지급 처분을 취소하는 판결을 하였다(2019. 12. 12 선고 2018구합85709 판결).

이 판결에서 서울행정법원은 이번 헌법불합치 결정에 따라, 통상의 출퇴근 사고를 업무상재해로 인정하지 않았던 구산재보험법에 대한 헌법불합치 결정일인 2016. 9. 29. 이후에 통상의 출퇴근 사고를 당한 근로자에 대해서는 개정 산재보험법을 적용하여 업무상 재해 해당여부를 결정하여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43
2025.06.02 0 843
31
[상담실] [132호]업무상 사고와 질병의 구분 방법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119
2025.06.02 0 119
30
[상담실] [131호]산재 요양 중에도 상여금 받을 수 있을까?
mklabor | 2025.02.06 | 추천 0 | 조회 705
2025.02.06 0 705
29
[상담실] [130호]휴업급여 지급 요건의 비현실성
mklabor | 2024.10.15 | 추천 0 | 조회 659
2024.10.15 0 659
28
[상담실] [129호]출퇴근재해로 산재 신청하기
mklabor | 2024.07.05 | 추천 0 | 조회 1329
2024.07.05 0 1329
27
[상담실] [128호]‘소음성 난청’도 산재가 되나요?
mklabor | 2024.04.11 | 추천 0 | 조회 1981
2024.04.11 0 1981
26
[상담실] [127호]물량팀은 산재 승인 어떻게 받나요?
mklabor | 2024.01.18 | 추천 0 | 조회 1815
2024.01.18 0 1815
25
[상담실] [126호]조금 더 친절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mklabor | 2023.10.21 | 추천 0 | 조회 1865
2023.10.21 0 1865
24
[상담실] [125호]스스로 만든 지침도 안 지키는 근로복지공단?
mklabor | 2023.07.21 | 추천 0 | 조회 2220
2023.07.21 0 2220
23
[상담실] [124호]의사 선생님 잘 좀 봐주세요
mklabor | 2023.05.15 | 추천 0 | 조회 2421
2023.05.15 0 2421
22
[상담실] [123호]같은 사례, 다른 결론
mklabor | 2023.03.09 | 추천 0 | 조회 2510
2023.03.09 0 2510
21
[상담실] [122호]산재노동자가 짊어져야 하는 입증책임의 무게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905
2022.11.04 0 2905
20
[상담실] [120호]노동자가 산재를 신청하면 회사에 불이익이 가나요?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663
2022.04.21 0 2663
19
[상담실] [119호] 산재 노동자와 실업급여
mklabor | 2022.01.22 | 추천 0 | 조회 2834
2022.01.22 0 2834
18
[상담실] [118호]최근 눈에 띄는 불승인 사유
mklabor | 2021.10.11 | 추천 0 | 조회 3016
2021.10.11 0 3016
17
[상담실] [117호]산재 신청을 이유로 해고된 노동자의 부당해고 구제신청 사건
mklabor | 2021.07.08 | 추천 0 | 조회 3523
2021.07.08 0 3523
16
[상담실] [116호]산재 신청에도 빈부격차가 있다.
mklabor | 2021.04.02 | 추천 0 | 조회 3668
2021.04.02 0 3668
15
[상담실] [114호]나이 먹었다고 짤렸어요!
mklabor | 2020.08.27 | 추천 0 | 조회 3807
2020.08.27 0 3807
14
[상담실] [113호]“산재 불승인 됐는데, 도움을 받을 수 있을까요?”
mklabor | 2020.05.22 | 추천 0 | 조회 4044
2020.05.22 0 4044
13
[상담실] [112호] “직영은 들어오면 안 됩니다”
mklabor | 2020.02.28 | 추천 0 | 조회 3634
2020.02.28 0 3634
12
[상담실] [111호]하청노동자가 또 죽임을 당했습니다.
mklabor | 2019.12.06 | 추천 0 | 조회 3494
2019.12.06 0 34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