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호] 월경통

[건강하게 삽시다]
작성자
mklabor
작성일
2017-10-17 14:47
조회
3190
월경통이란?
월경통은 여성들이 흔히 겪는 현상이며, 이는 특별한 질환이 없는 여성이라도 주기적으로 경험할 수 있다. 월경 기간의 첫 8시간에서 72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아랫배의 경련통이 특징적이며, 허리 통증, 두통, 설사, 메스꺼움 및 구토 등 다양한 다른 증상을 함께 겪기도 한다. 가볍게 넘어가는 때도 있겠지만, 어떤 경우는 일상생활이나 업무가 어려울 정도로 심한 통증을 느끼기도 한다.

월경통이 발생하는 원인
월경통은 특별한 질환 없이도 월경 주기에 따른 자궁 근육이나 혈관의 경련, 또는 정서적 스트레스 등과 연관되어 나타난다. 그 외에도, 자궁 및 난소 등 여성 장기에 발생한 염증, 종양, 혹 및 자궁 내 피임 장치, 자궁 수술 후 조직의 엉겨붙음(유착), 형태 변화 (기형, 경부 협착) 등도 월경통 발생과 연관된 원인으로 알려져 있다.
월경통의 진찰과 치료
쉬고 안정하면 나아지는 경우도 있고, 진통제 등의 약물치료나 다른 비약물 치료를 필요로 하는 경우도 있다. 힘든 통증이 반복된다면, 다른 원인은 없는지 산부인과 (여성의학과) 및 관련된 전문 과의 진찰이 필요할 수도 있으므로 미루지 말고 병원을 방문한다. 야간 교대근무를 하거나 유기용제를 사용하는 작업환경, 정서적 스트레스를 심하게 받는 여성노동자들은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월경통을 더 많이 경험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직업환경의학과 전문의의 진찰도 필요할 수 있다. 불안정한 고용 조건 또한 월경통 위험을 높일 수 있다. 중국 천진 지역 전자 제품 공장 3곳의 여성 노동자 651명에 대한 설문 연구에서는, 자신의 고용 상태가 불안정하다고 응답한 여성 노동자들이 (그렇지 않은 경우에 비해) 지난 1년 간 ‘월경통을 항상 또는 자주 겪었습니다’ 라고 더 많이 응답했다.

월경통의 한방 치료는?
다른 질환이 없지만 반복되는 월경통이 있다면, 침 치료도 가능하다. 다만, 현재로서는 침 치료나 경혈 지압 치료가 월경통 치료하는데 효과적이라는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에, 3개월 이내 12-16회 정도 치료했는데도 별 효과가 없다면 무리해서 치료를 이어가는 것은 권하지 않으며 다른 치료방법으로 바꾸는 게 좋다. 한약 역시 현재 연구 결과로는 월경통에 효과적이라는 확실한 근거가 부족하므로, 진찰 한의사와 상의하되 우선 다른 치료들을 먼저 해 본 후에도 반응이 없을 경우 시도해본다. 3개월 정도 치료하여 효과가 없는데도 한약치료를 이어가는 것은 권하지 않는다.
전체 421
번호 썸네일 제목 작성일 추천 조회
공지사항
[여는 생각] [132호]피 흘리는 현실 앞에, 치료마저 외면당한 노동자들
mklabor | 2025.06.02 | 추천 0 | 조회 843
2025.06.02 0 843
280
[활동 글] [122호]화학물질 중대 재해 발생 이후 무책임한 사측! 안일한 태도의 노동부와 검찰!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638
2022.11.04 0 2638
279
[활동 글] [122호]복지 전문 회사 웰리브? 붉은 고무 장갑. 파란 앞치마의 투쟁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2893
2022.11.04 0 2893
278
[여는 생각] [122호]아직 살아 있는 우리는
mklabor | 2022.11.04 | 추천 0 | 조회 3133
2022.11.04 0 3133
277
[현장 보고] [121호]마창대교 요금소 노동자 사고경험과 불안실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025
2022.07.27 0 3025
276
[건강하게 삽시다] [121호]온열질환과 노동자 건강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4186
2022.07.27 0 4186
275
[산재 판례] [121호]출퇴근 재해 ‘출근 경로의 일탈·중단’ 엄격하게 판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101
2022.07.27 0 3101
274
[만나고 싶었습니다] [121호]노후설비 안전관리 특별법 제정투쟁에 나선 전국화학섬유식품산업노동조합 부산경남지부 윤위준 노안보위원장을 만나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704
2022.07.27 0 2704
273
[121호]장해등급 결정 기준의 공정성과 현실성에 대하여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1023
2022.07.27 0 1023
272
[일터에서 온 편지] [121호]거제지역 최저임금 적용 실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64
2022.07.27 0 2564
271
[초점] [121호]윤석열 정부의 노동정책-자본의 자유확대와 노동규제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60
2022.07.27 0 2560
270
[현장을 찾아서] [121호]한국지엠 불법파견 투쟁은 끝나지 않았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56
2022.07.27 0 2556
269
[활동 글] [121호]노동자의 죽음이 계속해서 반복될 수밖에 없는 실상을 고발한다!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3704
2022.07.27 0 3704
268
[활동 글] [121호]차별금지법 제정, 지금 당장도 늦다! 국회는 차별금지법 즉각 제정하라!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523
2022.07.27 0 2523
267
[활동 글] [121호]노동 환경 개선단에 참여하며 퍼스텍 지회 근골격계 유해요인 조사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98
2022.07.27 0 2498
266
[활동 글] [121호]아프지 않고, 다치지 않고 출근 했던 그대로 퇴근 하는 게 우리의 작은 바램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2497
2022.07.27 0 2497
265
[여는 생각] [121호]기로에 선 중대재해처벌법
mklabor | 2022.07.27 | 추천 0 | 조회 4145
2022.07.27 0 4145
264
[현장 보고] [120호] 조직팀 현장보고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56
2022.04.21 0 2856
263
[건강하게 삽시다] [120호]코로나 감염 후 증상 관리에 도움되는 건강보험 한약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751
2022.04.21 0 2751
262
[산재 판례] [120호]감시단속 근로자인 학교 야간 경비원 뇌경색 사망 산재 인정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848
2022.04.21 0 2848
261
[만나고 싶었습니다] [120호] 건설노조 경남건설기계지부 동지들을 만나다.
mklabor | 2022.04.21 | 추천 0 | 조회 2739
2022.04.21 0 2739